반도체 생산 늘고 ‘코세페’ 효과 분석
지난달 생산, 소비, 투자가 3개월 만에 모두 반등했다. 반도체가 생산을, 코리아세일페스타가 소비를 각각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4%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이 0.5% 감소했지만 서비스업 생산이 1.4% 늘면서 전산업생산의 반등을 이끌었다.
광공업 생산에서는 반도체가 전월 대비 9.3%의 높은 증가를 보이며 자동차(-7.5%), 금속가공(-6.5%) 등의 부진을 만회했다. 반도체는 지난 9월(-1.8%) 감소세를 보였지만 10월(4.9%) 반등을 시작해 상승 폭을 확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반도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생산과 투자에서도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예술·스포츠·여가 부문이 8.1% 증가했고 부동산(6.2%), 도소매(3.0%), 금융·보험(2.1%) 업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소비 동향을 보여 주는 소매판매액은 코리아세일페스타와 중국의 광군제(光棍節·중국의 싱글데이인 11월 11일 열리는 최대 쇼핑 행사)가 맞물리면서 전월보다 3.0% 증가했다. 소매업태별로는 면세점(7.6%), 무점포소매(4.7%), 대형마트(3.2%), 백화점(2.9%) 등의 증가율이 눈에 띄었다.
제품별로는 겨울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5.6% 증가했고 신차 출시와 프로모션 등의 영향으로 내구재 판매도 3.4% 늘었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코리아세일페스타와 중국 광군제가 모두 11월에 열리면서 온라인 판매가 급증한 것이 소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도 전월 대비 1.1% 증가했다. 기계류 투자는 0.3% 감소했지만 항공기 등 운송장비 투자가 4.6% 늘어난 게 컸다. 설비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2018년 11월부터 1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이다가 지난달 처음 보합으로 돌아섰다. 특히 국내 기계 수주는 공공과 민간에서 모두 늘어 전년 동월보다 23.6%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 주는 건설기성은 전월보다 1.8%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해 2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 갔다. 반면 앞으로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9-12-3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