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자리도 귀해”…20대 임시·일용직 1년 새 21.4만명 감소

“알바 자리도 귀해”…20대 임시·일용직 1년 새 21.4만명 감소

곽혜진 기자
입력 2021-02-17 09:32
수정 2021-02-17 09: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실업급여 설명회를 찾은 한 구직자가 신발 끈이 풀린 것도 모른 채 서둘러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실업급여 설명회를 찾은 한 구직자가 신발 끈이 풀린 것도 모른 채 서둘러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달 20대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1년 전보다 21만 4000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절벽으로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단기 아르바이트 일자리마저 대폭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에 의하면 지난 1월 임시·일용 근로자는 499만 5000명으로 1년 전(579만명)보다 79만 5000명(13.7%) 줄었다. 이 중 20대 임시·일용근로자는 99만 7000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달(121만 1000명)보다 21만 4000명(17.7%) 감소한 수치다.

지난달 줄어든 임시·일용직 가운데 4명 중 1명(26.9%)은 20대였던 셈이다. 특히 20대 임시근로자가 101만 2000명에서 86만 1000명으로 15만 1000명, 일용근로자가 19만 9000명에서 13만 6000명으로 6만 3000명 각각 줄었다.

통계청 분류에 따르면 임시직 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개월∼1년 미만, 일용직 근로자는 계약 기간이 1개월 미만인 근로자를 뜻한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임시·일용직이 19만명 감소했다. 50대에서도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13만 1000명 줄었다. 그 외 30대(7만 9000명), 10대(15~19세, 5만 7000명) 등 순이었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임시·일용직 비중이 큰 대면 서비스 업종이 타격을 입은 영향이 크다. 이를 방증하듯 지난달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6만 7000명(17.7%) 줄었다. 이 밖에 도·소매업(-21만 8000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10만 3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많이 줄었다.

특히 서비스업에서 줄어든 일자리는 89만 8000명에 달한다. 자영업자 가운데에도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5만 8000명 줄었다. 최근 경영난이 이어지며 직원을 내보내고 혼자 일하는 업자들이 늘어난 여파로 해석된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