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시중 통화량 전월 대비 1.3%↑
기업 24조 대폭 늘어 ‘역대 최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유동성 확대 기조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1월 시중 통화량이 3200조를 돌파해 역대 최대 폭으로 늘었다.
서울신문DB
설 연휴를 일주일 앞둔 지난달 4일 서울 강남구 한국은행 강남본부에서 현금운송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에 공급될 설 자금 방출 작업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M2는 시중 유동성을 보여주는 통화 지표다.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 등 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적금, 수익증권, CD(양도성예금증서), RP(환매조건부채권),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10.1%를 기록, 2009년 10월 10.5% 이후 최고 수준을 보였다. 지난해 말 증가 폭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연초 민간 부문에 대한 신용공급이 확대되면서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기업에서 24조원이 대폭 늘었고, 가계 및 비영리단체 4조 7000억원, 기타금융기관 4조 5000억원, 기타 부문 1조 2000억원 등 모든 경제 주체에서 M2가 늘었다. 기업의 증가 폭은 통계 편제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기업의 유동성 확보 노력 등으로 채권·주식형 수익증권, 2년미만 정기예·적금 등에 자금이 유입된 영향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금융상품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와 기업의 자금 유입으로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15조 3000억원 늘었다. MMF도 연말에 일시적으로 유출됐던 기관의 여유자금이 다시 유입되면서 7조2000억원 증가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