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가격마저 ‘들썩’… 햄·과자 줄줄이 상승

소금 가격마저 ‘들썩’… 햄·과자 줄줄이 상승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1-09-06 21:00
수정 2021-09-07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년새 14.6% 올라… 9년 만에 최대폭

소비자물가가 5개월 연속 2%대 상승하는 가운데 대표적인 조미료인 소금 가격도 9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소금 가격 상승은 가공식품 물가를 끌어올리는 또 다른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염전 감소·장마 영향 “김장철 더 오를 수도”

6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소금 가격은 1년 전보다 14.6% 올라 2012년 7월(23.6%) 이후 9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 5월 5.4%에서 6월 6.4%, 7월 8.6% 등으로 점점 오름폭을 키우고 있다. 최근 염전 감소와 잦은 비로 천일염 생산량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 6월부터 비축 천일염 4763t을 시장에 풀며 대응에 나섰지만, 다가오는 김장철을 맞아 가격이 더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소금과 함께 드레싱(11.9%), 식초(10.8%), 잼(8.8%), 물엿(7.9%), 참기름(7.5%), 식용유(5.1%) 가격도 줄줄이 올랐다. 이 여파로 비스킷(11.1%), 스낵과자(4.7%) 같은 간식류와 국수(10.7%), 파스타면(4.4%) 등 식재료, 햄·베이컨(7.6%), 생선통조림(6.8%), 부침가루(6.1%), 두부(5.5%), 된장(4.3%) 등 부식재료도 오름세를 보였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2% 넘을 듯

당초 정부는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지금은 2%대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은 지난달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1.8%에서 2.1%로 0.3% 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2021-09-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