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 쾌속 순항… 1분기 수주 50% 쾌거

한국 조선 쾌속 순항… 1분기 수주 50% 쾌거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2-04-06 20:44
수정 2022-04-07 0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년 만에 1위에… 中 8%P 따돌려
점유율 50%는 26년 만의 대기록
대형 컨 55%·LNG선 70% 수주

“친환경 선박 기술력 경쟁국 압도”

이미지 확대
한국 조선업계가 해양 환경규제 강화에 힘입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절반 이상을 수주했다. ‘K조선’이 1분기 기준 수주 시장 점유율 50%를 차지한 것은 26년 만이다.

6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 323만CGT(표준선 환산톤수) 가운데 51%에 해당하는 164만CGT를 수주했다. 중국은 136만CGT(42%)로 2위로 밀려났고, 일본은 12만CGT(4%)를 수주했다.

올해 1분기(1~3월) 전 세계 누적 선박 발주량은 920만CGT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감소했다. 하지만 한국은 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457만CGT(50%)를 수주하면서 중국(386만CGT·42%)보다 8% 포인트 차로 앞섰다.

1분기 수주량에서 한국이 중국을 누르고 1위에 복귀한 것은 2015년 이후 7년 만이다. 시장 점유율이 50%를 기록한 것은 클락슨리서치가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기 시작한 1996년 이후 26년 만이다.

한국은 1분기 발주된 대형 컨테이너선(1만 2000TEU급 이상) 38척 가운데 21척(55%), 대형 LNG선(14만m³ 이상)도 37척 중 26척(70%) 수주하는 등 주력 선종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지난달 기준 전 세계 선박 수주잔량은 2월 말보다 155만CGT(2%) 증가한 9471만CGT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은 112만CGT(4%), 중국은 61만CGT (2%) 증가한 반면, 일본은 24만CGT(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한국의 수주잔량은 758만CGT(31%), 중국은 716만CGT(22%) 증가했으나 일본은 164만CGT(15%)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3948만CGT(42%)에 이어 한국 3238만CGT(34%), 일본 912만CGT(10%) 순이다.

이와 관련해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선박의 수명은 20년 이상이지만 그동안 해양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 선박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며 “한국의 친환경 선박 기술력은 경쟁국에 견줘 압도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말했다.
2022-04-0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