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은 자사가 개발한 열차제어시스템인 ‘무선통신기반 차상 열차 자동제어시스템’(KTCS-2)이 IR52 장영실상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KTCS-2’ 열차제어시스템 개발로 29일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한 현대로템 신호제어연구팀원들이 연구실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성민 책임연구원, 김경식 팀장, 강성원 책임연구원, 김봉수 책임연구원. 현대로템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KTCS-2’ 열차제어시스템 개발로 29일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한 현대로템 신호제어연구팀원들이 연구실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성민 책임연구원, 김경식 팀장, 강성원 책임연구원, 김봉수 책임연구원. 현대로템 제공
현대로템의 KTCS-2은 국내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표준 열차제어시스템이다. 열차와 지상 신호 정보를 종합해 차량 간격과 위치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수송성을 높이고 운행 안전 확보 면에서도 유용하다는 설명이다.
고속철도 열차제어시스템으로는 세계 최초로 철도용 4세대 무선통신 LTE-R을 적용해 기존 대비 2배 이상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국내 최초로 유럽 표준 사양인 ‘ETCS 레벨 2’를 충족해 해외 시장 진출 경쟁력도 갖췄다. 철도분야 글로벌 안전무결성 인증인 ‘SIL’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IL 4’를 획득하는 등 안전성도 인정받았다.
그동안 국내 고속철도 열차제어시스템은 국산 제품이 없어 전량 해외에 의존해 왔지만 KTCS-2 개발로 국산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현대로템은 2012년 KTCS-2 개발을 위한 국토교통부의 국가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해 2018년 기술 개발에 성공, 지난해에는 실제 KTX 열차에 탑재해 시범 운행을 하기도 했다. 지난 10월에는 KTCS-2가 탑재된 열차가 전라선에서 처음으로 영업운행에 투입되는 등 상용화도 진행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KTCS-2를 필두로 국내 고속철도를 비롯한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일반 철도 시장은 물론 해외에서도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관련 기술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IR52 장영실상은 우수 신기술 제품 및 기술혁신 성과가 우수한 조직을 선정해 1년 52주 동안 매주 1건씩 시상한다. 1991년 제정돼 국내 산업기술 분야 최고 권위를 가진 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희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