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두 끼도 못 먹는 1인가구…부업 뛰어도 여윳돈은 줄어

하루 두 끼도 못 먹는 1인가구…부업 뛰어도 여윳돈은 줄어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입력 2024-11-18 00:38
수정 2024-11-18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주일 12.9끼… 하루 1.8끼 먹어
“부업” 54.8%… 2년 새 12.8%P↑
여유자금 비중 20.1% → 16.2%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1인 가구 가운데 55%가 부업 활동을 하고 있고 하루 평균 채 두 끼도 먹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 탓에 생활비 부담이 늘면서 살림살이가 팍팍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수도권과 광역시에 거주하는 25~59세 1인 가구 고객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발표한 ‘2024년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 가구는 주간 평균 12.9끼, 하루 평균 1.8끼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평균 2.2끼)보다 줄어 하루에 보통 두 끼도 채 먹지 못한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고물가로 인해 식비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이 보였다”고 분석했다.

응답자인 1인 가구의 54.8%는 ‘부수입 활동을 한다’고 답했다. 2022년 당시(42.0%)와 비교했을 때 부수입 활동 비율이 2년 사이 12.8% 포인트나 높아졌다. 부업 활동의 배경으로는 여유·비상자금 마련(38.7%), 시간적 여유(18.7%), 생활비 부족(13.2%) 등이 꼽혔다.

부업 종류로는 ‘앱테크’(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미션을 수행하면 현금처럼 쓰는 포인트로 보상받는 재테크) 비중이 42.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소셜 크리에이터·블로거(6.2%), 서비스직 아르바이트(3.8%) 등 순이었다.

1인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780만원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소득은 315만원 수준이다. 전체 소득 가운데 주거비·식비·여가비 등 생활비로 인한 지출(40.8%·128만원)이 가장 많았다.

소득의 12.6%는 대출 상환에, 30.3%는 저축에 썼다. 생활비와 대출 상환 비중은 2년 전보다 각각 2.1% 포인트, 1.8% 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저축 비중은 변화가 없었다. 특히 여유자금 비중은 20.1%에서 16.2%로 3.9% 포인트 줄었다. 고금리와 고물가로 생활비 부담이 늘어 허리띠를 졸라매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출 보유율은 54.9%로 2년 전보다 7.2% 포인트 올랐지만, 대출 잔액은 9900만원에서 7800만원으로 줄었다.

부동산 자산의 경우 1인 가구의 45.1%가 월세로 거주하고 있었다. 전세와 자가 거주자는 각 30.0%, 21.8%를 차지했다. 2년 전보다 월세 비율만 8.9% 포인트 뛰었고 자가와 전세는 각 6.2% 포인트, 2.1% 포인트 떨어졌다.
2024-11-1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