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올 들어 9% 하락…주요국 주가지수 중 ‘꼴찌’

코스피 올 들어 9% 하락…주요국 주가지수 중 ‘꼴찌’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4-11-18 00:38
수정 2024-11-18 06: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닥 하락률 20.90%에 달해
美 나스닥·S&P 20% 넘게 뛰어
원·달러 1398.8원… 8.60% 급등

이미지 확대
올해 들어 코스피는 9%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은 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17일 서울 여의도 증권가. 2024.11.17 연합뉴스
올해 들어 코스피는 9%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은 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17일 서울 여의도 증권가. 2024.11.17 연합뉴스


올해 들어 코스피는 9%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은 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의 당선으로 전 세계 금융시장에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 색채가 강해졌다지만,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증시 부진과 화폐 가치 절하는 주요국들과 비교해봐도 꼴찌 수준이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0.08% 떨어진 2416.86에 하락 마감했다. 지난해 말 종가 2655.28과 비교하면 8.98% 빠진 수치다. 특히 같은 기간 코스닥은 866.57에서 685.42로 떨어져 하락률이 20.90%에 달했다. 주요국 주가지수 가운데 올해 뒷걸음친 경우는 우리나라 양대 지수를 빼고는 찾기 어렵다.

미국 3대 주가지수 중 나스닥종합지수(24.44%)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23.08%)은 20% 넘게 뛰었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15.27%)도 상승률이 두 자릿수다. 유로권의 유로스톡스50, 독일DAX, 영국FTSE100도 각각 6.04%, 14.68%, 4.27% 올랐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홍콩항셍지수·대만가권지수 역시 각각 11.96%, 13.95%, 26.84% 상승했다.

비교 대상 국가 범위를 40개로 넓혀도, 우리나라 코스피·코스닥보다 하락률이 높은 곳은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의 RTS(-20.79%)뿐이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6.3원 낮은 1398.8원에 마감(오후 3시 30분 종가)했다. 4거래일 만에 1400원선 밑으로 겨우 내려왔지만, 지난해 말 원·달러 환율이 1288.0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8.60% 급등했다. 환율이 높아졌단 건 1달러를 사기 위해 더 많은 원화가 필요하단 뜻으로, 그만큼 원화 가치가 낮아졌단 얘기다. 원화보다 약세를 보이는 화폐는 ‘슈퍼 엔저’를 겪고 있는 일본의 엔화가 거의 유일했다. 이 기간 엔·달러 환율은 141.181엔에서 156.295엔으로 10.71% 뛰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의 상대적 가치를 의미하는 달러인덱스는 지난 15일 106.76을 기록했다. 달러인덱스가 기준선인 100을 상회하면 그만큼 달러의 가치가 높아졌다는 뜻이다.
2024-11-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