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5년 차 가구 연소득 3621만원…4년 만에 31%↑

귀농 5년 차 가구 연소득 3621만원…4년 만에 31%↑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5-03-04 14:21
수정 2025-03-04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식품부, ‘2024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발표

이미지 확대
귀농·귀촌 실태조사.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귀농·귀촌 실태조사.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한 가구의 5년차 소득이 귀농 첫해보다 3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가구 10곳 중 7곳은 농촌 생활에 만족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4일 이런 내용의 ‘2024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9~2023년 귀농·귀촌한 6000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9~11월 진행한 면접조사 결과다.

귀농 가구의 연평균 가구소득은 귀농 첫 해 2763만원에서 5년 차 3621만원으로 31.1%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 5년 차의 연평균 가구소득은 전체 농가 평균(5083만원)의 71.2% 수준이었다. 이중 농업소득은 1600만원으로 전체 농가 평균(1114만원)을 43.6% 웃돌았다. 반면 지출은 줄었다. 귀농·귀촌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각각 194만원, 204만원으로 도시에 살 때보다 25.1%, 11.7% 감소했다.

귀농·귀촌가구의 71.8%, 71.3%가 각각 현재 생활에 만족한다고 했다. 1년 전보다 각각 5.1% 포인트, 2.0% 포인트 오른 것이다. 불만족이라는 답변은 각각 2.3%, 0.7%에 그쳤다. 또 귀농가구의 71.4%와 귀촌가구의 51.4%는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다고 했다.

귀농가구 중에서는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 후 다시 연고지로 이주한 ‘U형’이 74.3%로 가장 많았다. 귀촌가구에서는 도시 출신이 농촌으로 이주한 ‘I형’이 48.9%로 가장 많았다. 귀농 이유는 자연환경(31.9%), 가업승계(20.0%),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19.8%) 순이다. 귀농과 귀촌 준비기간은 각각 평균 30.1개월, 17.9개월이다. 윤원습 농식품부 농업정책관은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중심으로 귀농·귀촌 희망자의 특성에 맞춘 귀농·귀촌 교육을 더 충실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