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킥스 비율 급락… 롯데·동양·푸본, 150% 못 미쳐

보험사 킥스 비율 급락… 롯데·동양·푸본, 150% 못 미쳐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5-06-02 00:50
수정 2025-06-02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분기 롯데 120%·동양 127% 그쳐
보험료 인상·소비자 피해 등 우려

이미지 확대


시장 금리 하락과 보험 부채 할인율 현실화 등 규제 반영으로 1분기 보험사의 건전성 지표가 크게 악화했다. 보험사 건전성이 나빠지면 보험료 인상 압력이 커지거나 향후 보험금 지급에 문제가 생기는 등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후순위채 콜옵션(조기상환권) 행사 번복 소동을 빚었던 롯데손해보험의 1분기 지급 여력(K-ICS·킥스) 비율은 119.93%로 지난해 말보다 34.66% 포인트 떨어졌다.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밑도는 수치다. 이조차도 롯데손보가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을 낙관적으로 가정한 예외 모형을 적용했을 때이고, 당국이 제시한 원칙 모형을 적용하면 1분기 킥스 비율은 94.81%에 불과하다.

동양생명 킥스 비율도 지난해 말 155.5%에서 올 1분기 127.2%로 28.3% 포인트 하락했다. 푸본현대생명은 같은 기간 157.30%에서 145.53%로 떨어졌다. 금융당국은 올해 킥스 감독 기준을 150%에서 130%로 낮추기로 했는데 롯데손보와 동양생명의 킥스 비율은 인하한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다. 가교 보험사로의 전환 작업을 진행 중인 MG손해보험의 킥스 비율은 지난해 말 4.13%에서 올 1분기 -18.22%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킥스 비율은 보험사가 손실에 대비해 자본을 얼마나 충분히 갖췄는지를 보여 주는 건전성 지표다. 금리가 떨어지면 보험사가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미래 보험금(부채)의 현재 가치가 커지기 때문에 건전성 지표에는 악영향을 준다.

2025-06-0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