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안정보고서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이조한 금융기관분석부장, 임광규 금융안정기획부장, 이종렬 부총재보, 장정수 금융안정국장, 문용필 안정분석팀장, 고경철 전자금융 팀장.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은 스테이블코인 확산이 ‘코인런’(대규모 코인 인출 사태)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외환시장 충격 등 다양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25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스테이블코인의 가치 안정성·준비자산에 관한 신뢰가 훼손될 경우 디페깅(스테이블코인의 가치가 연동 자산의 가치와 괴리되는 현상)과 대규모 상환 요구가 발생하면서 코인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은 코인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미비해 시장 신뢰 하락에 더 취약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블록체인 관련 제도나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아 기술적 오류가 발생하거나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비기축통화국에서 외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광범위하게 활용되면 환율 변동성·자본 유출입 확대 등 외환 관련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통화의 신뢰성 저하, 은행의 신용 창출 약화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한은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시가 총액은 지난달 말 기준 2309억달러(주요 스테이블코인 10종 기준)까지 불어났다. 사용 범위가 가상자산 시장을 넘어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기존 결제 시스템과 결합해 일상적인 거래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한은은 “잠재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규제가 정립될 수 있도록 정부·금융당국과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