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15% 증가 준모항 가시적 성과
슬로프형 검사대·무인자동심사대 도입
입국 절차 간소화… 다목적 전동 셔틀카도
기항 관광 프로그램 개발… 올해 80만명 목표

올해 7월까지 46만명의 관광객이 크루즈를 타고 제주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강정항에 정박해 있는 이탈리아 크루즈 코스타 세레나호의 모습. 제주도 제공
크루즈 타고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이 46만명을 돌파했다.
제주도는 올해 7월까지 46만명의 관광객이 크루즈를 타고 제주를 방문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단됐던 크루즈 입항이 2023년 재개된 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준모항 운용과 12차례에 걸친 제주국제크루즈포럼 개최 등으로 아시아 크루즈 허브로서 대외 인지도가 상승하고, 다양한 기항 프로그램 운영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0만명과 64만명의 크루즈 관광객이 제주를 방문했다. 올해는 80만명의 관광객이 크루즈를 타고 제주항과 강정항을 통해 제주를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는 지난 5월부터 기항 중심에서 벗어나 ‘제주에서 승하선이 가능한’ 준모항을 운용해 크루즈 관광 활성화에 나섰다. 기항 중심의 기존 크루즈 관광 방식에서 벗어나 ‘제주에서 출도착이 가능한’ 준모항 개념의 크루즈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준모항 운용으로 제주 방문 관광객의 체류시간이 늘어나고, 숙박과 음식, 쇼핑, 교통 등 소비지출 증가로 이어져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제주항에 기항한 크루즈 모습. 제주도 제공
8월 현재 강정항에서 출발하는 준모항 크루즈는 총 12회 운영됐으며, 1461명의 승객이 제주에서 탑승해 해외로 향했다.
도는 준모항 활성화로 기항 횟수와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용 태세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선박과 터미널 간 거리가 먼 강정항에 노약자·어린이 등의 이동 편의와 준모항 승객 수화물 수송을 위한 다목적 전동 ‘셔틀카’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준모항 승객 입출국 시 수화물 검사를 원활히 하고, 터미널 혼잡도를 줄여 입출국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슬로프형 검사대를 설치한다.
10월쯤 입국심사 절차를 2시간 30분 가량 단축시킬 수 있는 무인 자동 입국심사대(38대) 설치도 예정대로 추진중이다. 설치 예산 52억원을 투입해 제주항에 10대, 강정 민군복합형관광미항에 28대가 설치된다.
오상필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준모항 운용을 통해 크루즈 관광이 기항에서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되면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며 “올해 80만 명 목표 달성을 위해 인프라 개선과 더불어 차별화된 기항 관광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