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마다 다른 VIP 기준·혜택 이벤트 1930억 집행… 빗썸 집중 조건 잦은 변경에 투자자 불만도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신문 DB
추석 연휴에도 국내 주요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들이 VIP 제도와 각종 이벤트를 무기로 투자자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다.
4일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실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VIP 제도 운영 현황과 이벤트 집행 내역은 거래소별로 차이가 뚜렷했다.
지난달 기준 빗썸은 월 1000억원 이상 거래 고객을 VIP로 지정해 수수료를 최대 50%까지 할인하고 있었다. 업비트는 지난해 7월 VIP 제도를 신설해 분기별 거래대금 상위 고객에게 전용 고객센터 운영, 출금한도 상향, 친환경 선물세트 제공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었다. 코인원은 2024년 말 VIP 제도를 폐지한 상태였고, 코빗은 최근 1개월 거래대금 30억원 이상과 보유 잔고 2억원 이상을 동시에 충족해야 VIP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 고팍스는 VIP 제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트코인 모형이 놓인 바닥에 코인 시세 그래프가 비치는 모습.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비트코인 모형이 놓인 바닥에 코인 시세 그래프가 비치는 모습. 연합뉴스
이벤트 운영 방식의 격차도 컸다. 2023년부터 지난 7월까지 5대 거래소가 집행한 이벤트 비용은 총 1930억 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빗썸이 1802억 7000만원(93.4%)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빗썸이 개최한 이벤트는 176건으로 전체의 41%에 달했다. 위믹스·스시스왑 등 특정 알트코인 거래를 유도하는 이벤트가 많아 ‘코인 쏠림’을 부추겼다는 비판도 나왔다.
업비트는 대규모 코인 증정 대신 지난해 ‘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 기념 이벤트에서 13억원 상당을 지급하는 등 상징성 있는 이벤트에 집중했다. 코인원은 같은 기간 17억 9000만원, 코빗은 15억 6000만원, 고팍스는 1억 1000만원 규모의 이벤트를 각각 진행했지만 시장 내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커지고 있다. 직장인 김모씨(34)는 “어디서는 수수료를 깎아주고, 어디서는 코인을 뿌리는데 기준이 제각각이라 혼란스럽다”며 “이벤트 조건이 수시로 바뀌어 ‘출혈 경쟁에 이용당하는 것 아니냐’는 회의감이 든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부 거래소는 VIP 혜택 조건을 분기·월 단위로 바꿔 투자자 혼선을 키우는 경우도 있었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