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모형이 놓인 바닥에 코인 시세 그래프가 비치는 모습. 연합뉴스
증시 활황 속 투자자금이 주식시장으로 몰리면서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원인 수수료 수입이 줄자,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앞다퉈 수천만원에서 최대 1억원에 달하는 상금 이벤트까지 내걸며 거래 유치에 나서고 있다.
12일 가상자산 데이터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거래소 업비트의 지난 24시간 거래대금은 22억 4151만달러로, 지난 1월(약 150억달러) 대비 약 7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점유율 2위 거래소 빗썸도 같은 기간 35억달러에서 12억달러로 줄며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코스피가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하면서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몰린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국내 주요 거래소들은 거래 위축에 대응해 고객 유입 경쟁에 나서고 있다. 업비트는 처음으로 1억원 규모의 ‘디지털자산 투자대회’를 열고 신규 가입자에게 3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지급한다. 빗썸은 하루 1000만원 규모의 상금 이벤트를 진행하며 이용자 유입 확대에 나섰다. 지난 9월부터는 원화마켓 상장 가상자산 200종의 거래 수수료를 전면 면제했다. 코인원의 경우 ‘코인원 어드벤처’ 이벤트를 통해 총 6000만원 규모의 상금을 걸었다. 거래량이 많은 이용자에게 상금을 주는 USDC 릴레이 랭킹전도 진행 중이다.
거래소들의 공격적 마케팅에도 시장 침체는 좀처럼 풀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비트코인의 11월 평균 상승률이 40%를 웃도는 등 계절적 반등 기대감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단기 이벤트를 통한 거래 활성화 시도는 불가피하지만, 근본적인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