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검색·메일 등 전통 서비스 대대적 강화

네이버, 검색·메일 등 전통 서비스 대대적 강화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2-11-15 10:40
수정 2022-11-15 1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검색에 국내 최초 HTTP3 도입... 엘베·터널에서도 원활
메일은 PC·모바일 UI 통합하고 즐겨찾기 등 편의 기능 신설

네이버가 검색 서비스에 국내 플랫폼 최초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3’을 도입하고 메일 서비스를 개편했다. 콘텐츠와 상거래 등 신규 사업에 투자하는 한편, 자사 전통적 서비스도 강화하는 모습이다.

네이버는 자사 검색 서비스에 기존 대비 더 빠르고 안정적인 HTTP/3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HTTP/3는 앱·브라우저와 웹 사이 데이터 교환을 위한 3세대 표준 규칙으로 지난 6월 국제인터넷기술위원회(IETF)가 차세대 웹 통신 표준 프로토콜로 제정했다. 네이버는 2015년 최초로 HTTP/2를 도입했으며, 이번 HTTP/3도 국내 사업자 중 최초로 도입했다.

HTTP/3 도입으로 엘리베이터나 터널 안, 혹은 통신 품질이 떨어지는 해외에서도 네이버 검색 기능은 비교적 원활하게 서비스될 것으로 예상된다. HTTP/2는 연결 요청부터 전송까지 2~3회의 트래픽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HTTP/3는 연결과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네이버는 3G 네트워크 환경에서 HTTP/3를 시험한 결과, 첫번째 데이터 도달 시간이 2.3초에서 1.8초로, 웹페이지에 검색 결과 화면이 처음 출력되는 시간이 3.4초에서 2.4초로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네이버 검색은 현재 일부 사용자 대상으로만 HTTP/3를 시범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일정 기간 베타 테스트를 거친 뒤 올해 안으로 전체 사용자가 HTTP/3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확대
네이버 메일 서비스는 사용자환경(UI)이 PC와 모바일, 태블릿에서 모두 통합된 형태로 개편되고, 기능도 개선됐다. 그간 각 화면에서 조금씩 있던 차이를 없애고 일관성 있는 사용성을 제공하는 차원이라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메일을 편리하게 검색하고 쓸 수 있는 방향으로 기능이 강화됐다. 먼저 받은 메일함, 청구·결제 메일함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메일함 즐겨찾기’가 신설됐다. 10여년 간 비슷한 모습이던 ‘메일쓰기 에디터’도 업그레이드됐다. 2000년대에 주로 쓰인 이모티콘 기능은 사라졌다. 첨부파일도 대용량, 일반 용량 등 형식 구분 없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개선했다.

PC에서만 가능했던 파파고 메일 번역 기능과 메일함 관리가 모바일에서도 제공된다. 개편된 화면이 익숙하지 않다면 PC 화면 왼쪽 아래 ‘이전 버전으로 가기’ 버튼을 눌러 기존의 메일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번 개편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공식 지원을 종료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모바일에서는 안드로이드 5.0 이하 환경은 운영체제(OS) 업데이트를 해야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PC, 모바일, 태블릿에서 하나로 통일된 사용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메일 서비스를 개편했다”면서 “이용자들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두고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