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 발표
4조 7000억 투입…생산시설 25개로기술 개발·해외 수입 통해 단가 낮춰

김영두 가스공사 사장 직무대리는 2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첫 단추는 수소 생산·유통 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공사는 전국 4854㎞에 이르는 천연가스 배관망과 공급관리소 403개를 활용해 2030년까지 수소생산시설 25개(공급능력 연 173만t)를 마련한다. 수소 운송을 위한 전용 배관망은 총 700㎞를 구축하고, 대용량 튜브 트레일러 500대를 보급한다.
수소 가격의 경제성 확보에도 나선다. 현재 국내 수소 ㎏당 가격은 6500∼7500원이다. 수소 1㎏으로 약 96.2㎞를 간다는 점을 감안해 경유를 수소로 환산하면 ℓ당 9000원 수준으로 비싼 편이다. 공사는 저렴한 부생수소(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는 수소) 활용 확대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수소 가격을 ㎏당 4500원으로 낮출 계획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해외 수소 가격은 ㎏당 1000원 수준”이라면서 “기술 향상과 해외 수입이 이뤄지는 2040년에는 3000원까지 인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LNG)처럼 수소를 액화해 선박으로 들여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액화나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를 얻는 수전해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수소사업을 위한 재원은 가스공사에서 1조원을 조달하고 나머지는 정부 보조금이나 민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통해 충당한다. 공사는 로드맵 추진 과정에서 5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9-04-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