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엑셀부터 2022년 투싼까지… 현대차, 美누적판매 1500만대

1986년 엑셀부터 2022년 투싼까지… 현대차, 美누적판매 1500만대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2-12-22 22:50
수정 2022-12-23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진출 36년 만에 금자탑 쌓아
IRA 이후 전기차 시장 점유 주춤

현대자동차가 1986년 울산 공장에서 생산한 소형 세단 ‘엑셀’을 시작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지 36년 만에 누적 판매 대수 1500만대의 금자탑을 쌓았다.

사업 초기 낮았던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덴 성공했지만, 앞으로는 난항이 예상된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이후 전기차시장 점유율이 주춤한 데다 뾰족한 해법도 없기 때문이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은 최근 뉴욕주 윌리엄스빌에 있는 딜러숍 ‘웨스트 허 현대’에서 1500만번째 신차인 ‘투싼’을 고객에게 인도했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현대차의 초창기 전략은 가성비를 통한 틈새시장 공략이었다. 당시 엑셀의 가격은 5000달러 안팎으로 현대차는 “같은 가격으로 신차 두 대를 살 수 있다”는 광고를 앞세우며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이런 영향으로 누적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팔린 모델 1·2위 차종 역시 가성비를 내세운 중소형 세단인 ‘아반떼’(353만대)와 ‘쏘나타’(314만대)였다.

현지 생산공장을 갖춘 것은 20년 만인 2005년이다. 미국 남부 앨라배마주에 공장을 짓고 판매를 본격화한 현대차는 2007년 누적 판매 500만대를 달성했다. 당시 그룹을 이끌었던 정몽구 명예회장은 준공식에서 “38년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여는 감격스런 순간이자 진정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로 위상을 갖추는 계기”라고 자평했다.



브랜드 입지도 탄탄해지고 기술력도 갖춰지자 판매가 급증한 것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다. 중형 ‘싼타페’(191만대)와 준중형 ‘투싼’(134만대)이 각각 누적 기준 3위와 5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현지 판매가 시작된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는 올해 들어서만 2만대 넘게 판매되며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판매 점유율을 크게 높이는 데 일조했다.
이미지 확대
‘투싼’
‘투싼’
그러나 북미산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IRA 통과 이후 판매는 급격히 줄어드는 모양새다. 아이오닉5는 아직 국내에서 만들어진 뒤 수출되고 있어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아이오닉5의 지난달 판매량은 1191대로 전달(1579대)보다 24%나 감소했다.
2022-12-2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