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매입’ 본업 경쟁력 덕에…이마트 2분기 흑자 전환

‘통합 매입’ 본업 경쟁력 덕에…이마트 2분기 흑자 전환

박은서 기자
박은서 기자
입력 2025-08-12 15:36
수정 2025-08-12 15: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스타필드 마켓 동탄점 외관 전경. 이마트 제공
스타필드 마켓 동탄점 외관 전경. 이마트 제공


이마트가 4년 만에 2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12일 이마트는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16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346억원 영업손실에서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액은 7조 390억원으로 전년 2분기(7조 560억원)보다 170억원(-0.2%) 소폭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314억원으로 전년 동기(-1119억원)에 비해 적자 폭을 축소했다.

상반기로 확대해보면 영업이익은 1809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125억원)보다 1351.4% 증가했다.

이마트 별도기준으로는 총 매출은 전년 대비 11.8% 증가한 4조 2906억원을, 영업이익은 15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210억원)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회사 측은 지난해부터 이마트에브리데이와 통합 매입을 한 지 1년이 되면서 원가를 절감했고, 이를 통해 가격 혜택 확대 등으로 고객 수를 확대한 것이 실적 개선의 선순환 구조로 자리잡았다고 설명했다.

이마트는 올해 초부터 대규모 행사인 ‘고래잇 페스타’를 주기적으로 진행하며 한우, 수박, 삼겹살를 비롯한 식품, 일상용품 등을 대대적으로 할인 판매했다. 지난 6월 고래잇 페스타 기간의 매출과 객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해 각 33%, 18% 증가했다.

지난해 첫 선을 보인 ‘스타필드 마켓’ 등 미래형 점포, 트레이더스 신규 출점 등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도 성과에 도움이 됐다.

주요 자회사들도 실적 개선세를 보였다. 스타필드를 운영하는 신세계프라퍼티는 고양, 코엑스 등 주요 점포의 선전에 힘입어 2분기 전년 대비 45억원 늘어난 5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신세계푸드 역시 원가개선 등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39% 신장한 13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다만 SSG닷컴과 G마켓 등 이커머스 계열사는 2분기 영업손실이 각각 310억원, 29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적자 폭이 늘었다.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스타벅스코리아(SCK컴퍼니)도 영업이익(403억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431억원)보다 다소 줄었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해 온 상품·가격·공간 혁신을 통한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지속적인 가격 투자 및 구조 혁신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초격차 전략을 통해 성장과 수익 개선을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이마트 에브리데이 매장에서도 이마트의 대표적인 프로모션인 ‘고래잇 페스타’가 진행되고 있다. 이마트 제공
이마트 에브리데이 매장에서도 이마트의 대표적인 프로모션인 ‘고래잇 페스타’가 진행되고 있다. 이마트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