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 주문·자사 앱 판매가는 유지

뉴시스
서울시내 교촌치킨의 모습. 2023.03.24.
뉴시스
뉴시스
서울의 교촌치킨 매장 대부분이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 등 배달 플랫폼에서 파는 메뉴 가격을 올렸다. 지난해부터 햄버거·커피 업계가 시행한 매장·배달 간 가격이 다른 ‘이중가격제’가 올 들어 치킨 업계로 확산되고 있다.
29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서울의 교촌치킨 가맹점주는 지난 19일부터 배달 플랫폼에서 가장 잘 팔리는 메뉴인 허니콤보와 레드콤보, 간장콤보, 반반콤보의 가격을 2000원씩 올려 판매하고 있다. 허니콤보는 기존 2만 3000원에서 2만 5000원으로 올랐다.
점주들은 가격 인상에 대해 배달앱 수수료 부담 때문이라고 했다. 교촌치킨 가맹점주협의회는 서울 지역 가맹점의 90% 이상이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파악했다. 매장에서 주문하거나 교촌치킨 자사 애플리케이션에서 판매하는 가격은 그대로다.
일부 교촌치킨 가맹점주는 이달 초부터 가맹본사가 설정한 권장소비자 가격보다 배달 메뉴 가격을 올려 판매하기 시작했다. 가맹사업법상 가맹본사는 가맹점주에게 상품 가격 설정을 강제할 수 없어, 대다수 업체는 권장소비자 가격을 정해 이를 점주가 따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교촌치킨 운영사인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점주들이 가격을 정해 본사에 통보한 것”이라며 “이중가격제로 인한 고객 불편을 최소화해달라고 부탁했다”고 전했다.
치킨은 다른 외식 품목과 달리 배달 비중이 70~80%로 압도적이라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면 다른 브랜드에 고객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하지만 지난 4월 자담치킨이 처음 이중가격제를 도입했고, 6월엔 bhc치킨 가맹본사가 배달 가격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하자 상당수 가맹점이 가격을 2000원가량 올렸다.
2025-09-3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