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 있었던 지난주 주택 거래시장은 개점휴업 상태였다. 강남 재건축으로 인해 지역의 전셋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매매가격은 큰 변화가 없었다. 대선이 지났지만 사람들은 아직 눈치를 보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 관악구에서는 시세보다 가격을 낮춘 매물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매수자들은 그보다 더 낮은 가격을 요구하고 있다. 봉천동 관악현대 138㎡는 3500만원 내린 3억 9000만~4억 5000만원에, 145㎡는 1500만원 내린 4억 8000만~5억 2000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다. 송파구는 급매물만 간혹 거래될 뿐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향세다.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102㎡는 1500만원 떨어져 6억 4000만~6억 8000만원에 급매가 나와 있다.
부천 중동신도시는 은하마을 일대 매매가가 하락했지만 매수세가 없어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동 은하마을 대우동부 201㎡는 1000만원 떨어져 5억~6억원, 은하마을 효성쌍용 125㎡도 500만원 하락해 3억 8000만원에 매물이 있다.
전셋값은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특히 강남권의 전세물건이 부족하다. 송파구는 수요가 많지 않으나 물건이 귀해 가격이 올랐다. 석촌동 잠실한솔 76㎡는 2000만원 오른 2억 7000만~3억원, 거여동 거여1단지 82㎡는 1000만원 오른 2억 1000만~2억 3000만원이다. 도봉구는 창동 삼성래미안이 소폭 올라 105㎡가 1000만원 상승한 2억~2억 3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되고 있다.
수원시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 가격이 올랐다. 망포동 쌍용 158㎡가 1000만원 오른 1억 8000만~2억원에 전세를 구할 수 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12-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