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전망…“수도권 주택 매매시장은 이미 회복국면 진입”
올해 주택 가격은 1.3% 오르고 전세 가격은 3%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주택 거래량도 87만가구 안팎에 달해 올해보다 2.1% 늘어날 것으로 점쳐졌다.국토연구원은 15일 경기도 안양 사옥에서 ‘부동산시장 정책 효과와 전망 세미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올해 부동산시장 전망 결과를 발표한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올해 주택 매매시장에서는 거시경제 여건의 개선, 부동산 정책의 효과 등에 힘입어 주택 거래가 87만가구 안팎으로 지난해보다 2.1%가량 늘고 주택 가격도 1.3% 내외 상승할 전망이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이에 따른 금리 인상 가능성, 아파트 입주 물량 증가 등은 부정적 요인이지만 매매시장에선 경제 여건 개선이나 정책 효과 등 상승 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1.5% 안팎으로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크지만 지방은 입주 물량 확대로 인해 이보다 덜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연구원이 ‘침체→회복→확장→확장 둔화’의 4단계 주기로 나눠 수도권 주택 매매시장의 순환국면을 분석한 결과 2012년 말 침체 국면이었던 수도권 주택 매매시장은 작년 4월부터 일부 지역에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해 작년 12월에는 수도권 전역이 회복 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전세시장 역시 경기 회복 등 불안 요소가 상존하긴 하지만 전세의 매매 전환 증가, 입주 물량 확대 등으로 상승 폭이 전년보다 축소되며 3.0% 내외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블로그 등에 대해 빅 데이터 감성 분석을 한 결과에서도 하우스 푸어, 가계부채, 전세시장 불안 등에 대한 부정적 정서가 있지만 시장 활성화와 최근 입법이 완료된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1 대책, 8·28 대책 등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부동산 거래 활성화에 끼친 영향은 주택 거래량 10만가구인 것으로 분석됐다.
정책이 시행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거래 추세를 토대로 산출한 거래량보다 10만가구가 많은 85만2천가구가 실제 매매됐다는 것이다.
또 경제성장률로는 0.1%포인트 안팎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었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올해엔 세제 완화, 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 등의 정책과 금융 지원 확대 등으로 거래 증가 효과가 이어지면서 주택 거래량 11만가구 증가의 정책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구원은 앞으로 부동산 정책의 방향과 관련해 ▲ 시장 정상화를 위해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 임대차 시장 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을 꾸준히 공급하면서 ▲ 임대차 시장 구조 변화로 늘어난 서민 주거비 부담 경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