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용 2만370가구, 신혼부부용 5천400가구, 대학생용 4천가구
’전세난’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전세 임대주택(보증부 월세 포함)을 지난해보다 31.6% 증가한 3만가구 가까이 공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런 공급량은 정부가 올해 목표로 세운 임대주택 공급 목표인 12만가구의 25%, 올해 전체 전세임대주택 공급량인 4만5천가구의 85%에 해당하는 것이다.
전세임대주택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보호대상 한 부모 가족 및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50% 이하인 무주택 가구 등을 대상으로 지원한다.
LH가 올해 공급하는 전세임대주택은 모두 2만9천770가구다. 일반 서민을 위한 전세임대주택이 2만370가구(작년보다 22.6%↑), 신혼부부용 5천400가구(80.0%↑), 대학생용 4천가구(33.3%↑) 등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57%,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와 지방에 43%를 공급한다.
LH 관계자는 “최근 수도권의 전셋값 상승과 서울 강남권의 재건축 이주수요에 대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물량을 수도권에 공급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LH는 그동안 지방공사가 단독으로 전세임대주택을 공급하던 성남·용인·안산·시흥·고양·남양주·하남시 등 경기도 7개 시에도 전세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국민주택기금으로 지원하는 전세보증금을 올해 500만원씩 올려 지원하고 지원금에 대한 이자도 일률적으로 2%를 받던 것에서 지원금액 대에 따라 차등 지원한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전세보증금 지원 한도는 8천만원, 광역시는 6천만원, 기타 지방은 5천만원으로 상향됐다. 임대 지원금 이자는 2천만원까지 1%, 2천만∼4천만원 구간은 1.5%, 4천만원 초과는 2%로 책정됐다.
LH 관계자는 “최근 전세의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보증부 월세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고 강조하고 “경기 7개 시와 대구 2개 구, 부산 2개 구역에서 조만간 입주자 모집을 추진하고 LH 각 지역본부를 통해 올해 입주신청 미달 주택에 대한 추가모집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