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자택, 12년째 굳건히 ‘가장 비싼 집’…어떻길래?

이건희 자택, 12년째 굳건히 ‘가장 비싼 집’…어떻길래?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4-28 15:45
수정 2016-04-28 15: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건희 집
이건희 집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저택이 2005년부터 이어온 ‘가장 비싼 집’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28일 시·군·구별로 공시된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을 분석해 보니 이 회장이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에 소유한 연면적 3천422㎡ 주택이 177억원으로 가장 비쌌다.

작년보다 공시가격이 13% 오른 이 집은 2005년부터 ‘공시가격 1위’였다.

공시가격 기준 2∼4위 단독주택도 모두 이 회장 소유였다.

2위는 1위와 마찬가지로 이태원동 소재 연면적 3천190㎡ 주택(136억원)이었고 3위는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2천225㎡ 주택(123억원), 4위는 중구 장충동 1가의 1천4㎡ 주택(112억원)이다.

삼성그룹 호암재단은 이태원동에 공시가격이 개별단독주택 가운데 여섯 번째로 비싼 101억원짜리 481㎡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가격 기준 5위는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용산구 한남동 집으로 연면적 573㎡에 103억원이다.

7위는 임창욱 대상그룹 회장이 소유한 94억7천만원짜리 용산구 한남동 494㎡ 주택, 8위는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의 경기도 성남 분당구 2천981㎡ 주택(93억원)이다.

9위와 10위는 각각 종로구 부암동 1천244㎡ 주택(92억7천만원)과 용산구 한남동 464㎡ 주택(83억4천만원)이다.

공동주택(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 가운데는 서울 서초구 트라움하우스 5차 전용면적 273㎡가 공시가격이 63억6천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작년보다 공시가격이 4% 오른 트라움하우스 5차는 2006년부터 1위다.

공시가격이 두 번째로 비싼 공동주택은 트라움하우스 3차 273㎡(44억4천만원), 세 번째는 강남구 청담동 상지리츠빌카일룸 3차 265㎡(44억800만원)이었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는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244㎡(42억1천600만원)과 강남구 삼성동 삼성동상지리츠빌카일룸 273㎡(41억7천600만원)이었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이숙자 운영위원장(대한민국 운영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15일 방배카페골목에서 진행된 상권 활성화 축제 ‘방가방카’에 참석해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했다. 방배카페골목은 이동과 휴식, 만남 등이 이뤄지는 생활권 골목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 상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과 주민들은 골목을 이용하며 느낀 점과 상권이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 이와 함께 상권 환경 개선과 이용 편의성에 관한 의견도 이어지며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방가방카’ 축제가 열린 방배카페골목은 1970~80년대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장소로, 현재도 축제·문화행사·일상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찾는 생활권 골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별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꾸준한 이용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상권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이 위원장은 “방배카페골목은 70~80년대 많은 시민이 찾던 공간이었으며, 서울시 상권분석에서도 인사동·성수동과 함께 방문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초구의 협력이 중요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