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물량·‘갭’투자 늘자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 뚝

입주 물량·‘갭’투자 늘자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 뚝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7-06-08 18:22
수정 2017-06-09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4.2%… 작년보다 2.9%P 낮아

서울의 신규 아파트 공급이 늘고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월세 거래 비중이 낮아졌다.

8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1~5월 월세 거래량은 총 2만 6787건으로 전체 전·월세 거래량 7만 8303건의 34.2%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37.1%보다 2.9% 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지난해 1∼5월 월세 비중이 42.6%에 달했던 강남구는 올해 상반기엔 38.6%로 떨어졌고, 월세 비중이 가장 높은 종로구도 지난해 48.5%에서 올해는 35.3%로 13% 포인트 넘게 하락했다. 지난해 월세 비중이 36.4%였던 강동구도 올해는 25.7%로 10.7% 포인트 줄었다.

월세 비중이 감소한 것은 서울의 새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와 ‘갭투자’ 증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갭투자는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이 높은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매입해 시세 차익을 노리는 투자 방식이다. 집값에서 전세금을 뺀 금액만으로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투자금이 적게 든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일반적으로 세입자들이 월세보다 전세를 선호하기 때문에 월세보다 전세가 먼저 소진될 수밖에 없다”면서 “하반기 둔촌 주공 등 재건축 이주 영향으로 강남권 전세 물건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6-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