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물 11% 늘었는데 거래는 뚝… 서울 아파트시장 조정국면 진입

매물 11% 늘었는데 거래는 뚝… 서울 아파트시장 조정국면 진입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3-11-26 18:37
수정 2023-11-26 2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에만 13만 4233건 쌓여
세종도 30% 늘어 1만 967건
11월 매매량 3000건 밑돌 듯
매매가 전망도 2개월째 하락
“지난해 같은 거래 절벽 우려”

이미지 확대
전국 부동산시장의 바로미터로 꼽히는 서울 아파트시장의 매물은 늘어난 반면 거래량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시장이 대세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굳어지고 있다.

26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월간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변동률은 0.04%로 지난달(0.23%)에 비해 상승폭이 대폭 축소됐다. 서울 매매가격전망지수 역시 기준점 100 아래인 83을 기록했다. 지난달 98을 기록하면서 3개월 연속 이어 오던 상승 전망이 하락으로 바뀐 후 하락 전망폭이 확대된 것이다. 가격전망지수는 전국 6000여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지역 아파트 매매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 전망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인데 100 미만이면 2~3개월 후 하락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0월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이날까지 2293건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매매 신고 기한이 계약일로부터 30일이라 이달은 아직 4거래일 정도 기한이 남았지만, 현재 추세대로라면 4월(3191건)부터 9월(3372건)까지 계속 3000건을 넘어오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는 7개월 만에 3000건을 밑돌 것이 확실시된다.

이에 따라 매물 역시 쌓이고 있다. 부동산 정보 제공 업체인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이날 기준 매물로 나온 서울 아파트는 13만 4233건으로 3개월 전(12만 489건)에 비해 11.4% 늘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같은 기간 송파구가 26%(9135건→1만 1518건)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영등포구(5075건→6089건·19.9%), 강동구(5428건→6509건·19.9%) 순으로 매물이 쌓이고 있다.

올해 초 서울보다 먼저 오름세를 보였던 세종도 조정 추세가 확연하다. 이달 세종의 매매가격전망지수는 올해 2월(100) 이후 처음으로 100 미만인 84를 기록하며 하락 전망으로 바뀌었다. 이날 기준 세종 아파트 매물은 1만 967건으로 3개월 전(8412건)에 비해 30.3% 늘었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위다.

시장에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이어진 ‘부동산 빙하기’가 재연되는 등 조정 국면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송파구 가락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아파트 가격이 정체된 상황에서 거래도 주춤하고 있다”며 “지난해와 같은 거래 절벽으로 이어질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세종 해밀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 역시 “한동안 상승장이 이어졌지만, 순식간에 분위기가 썰렁해졌다”며 “지금은 매수자가 고를 수 있는 물건들이 많아진 상태”라고 했다.

최호정 서울시회 의장,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지방의회 컨퍼런스 개최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최호정 회장(서울시의회 의장)은 지난 19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서 지방의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는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지방시대위원회, 행정안전부, 산업통상부, 울산시 공동 주최로 열린다. 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을 주제로 한 26개 정책 컨퍼런스와 기관별 우수사례를 알리는 전시회가 운영된다. 이날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가 개최한 지방의회 컨퍼런스는 ‘민선지방자치 30주년, 지방의회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지방의회법 제정에 관한 사항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는 민선 지방자치가 30주년을 맞는 특별한 해로, 30년간 지방의회는 주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지방정부의 민주적 운영을 이끌어내며 지역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정책으로 구현해왔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그러나 지방의회가 해결해야 할 구조적인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법 제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는 국회 및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지방의회법 제정을 위해 앞장서겠다. 내년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회 의장,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지방의회 컨퍼런스 개최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추석 때만 해도 집을 사려는 사람이 줄을 섰지만, 최근에는 팔리지 않는 매물이 쌓이고 있고 벌써 일부 지역에선 아파트값이 내림세를 보이는 등 시장이 급변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보 전달이 점차 빨라지는 상황에서 시장이 불안할수록 확 달아오르다 돌변해 얼어붙기 쉽다”고 했다.
2023-11-2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