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돈 만드는 적립식 펀드의 ‘비밀’[정문영 PB의 생활 속 재테크]

목돈 만드는 적립식 펀드의 ‘비밀’[정문영 PB의 생활 속 재테크]

입력 2023-03-23 00:53
수정 2023-03-23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목돈을 만들기 위해 은행에서 월 100만원씩 1년에 이자가 3%인 적금에 가입하면 1년 후 원금 1200만원에 세전 이자 19만 5000원을 받게 됩니다. 만기 시 수령 이자가 투자 원금 대비 상대적으로 매우 적어 보이지 않으신가요.

이럴 때 고려해 볼 수 있는 상품이 바로 ‘적립식 펀드’입니다. 펀드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모아진 자금을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들을 대신해 운용하는 금융상품으로 펀드 자금의 운용 대상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A주식에 투자하는 만기 5개월짜리 펀드에 월 10만원씩 불입한다고 해 봅시다. A주식의 가격이 5개월간 1만원→5000원→2500원→5000원→1만원으로 변한다고 가정하면 첫 번째 달에는 10만원으로 10주를 살 수 있고 두 번째 달에 20주, 세 번째 달엔 40주, 네 번째 달엔 다시 20주, 다섯 번째 달에는 10주를 살 수 있습니다.

주가의 변동이 없었다면 매달 10만원으로 10주씩 총 50주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반면, 예시처럼 주가가 변동한다면 총 100주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습니다. 주가 변동으로 투자 원금(50만원) 대비 100%의 수익률(100주X1만원=100만원)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적립식 펀드 투자는 투자대상종목의 가격이 나이키 로고인 ‘스우시’(U자 모양) 형태로 변동될 때 최대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은행에서 펀드 상담을 하면 수익증권, 좌수, 기준가격 등 생소한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수익증권이란 증권거래법상 투자자(고객)로부터 자금을 모아 전문투자기관인 자산운용사가 주식, 채권, CD(양도성 예금증서), CP(기업어음), RP(환매조건부채권) 등 유가증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만들고 그에 따른 운용성과를 투자자에게 비율에 따라 분배해 주는 권리 증서를 말합니다. 펀드에 가입한다는 것은 수익증권을 매수한다는 의미입니다. 좌수란 펀드 거래 시 거래하는 단위로 1좌=1원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기준가격이란 투자자와 판매회사(은행·증권사) 간에 펀드 매매 시 기준이 되는 가격을 의미하며 1000좌 단위로 표시합니다.

은행에서 펀드를 가입하고 수익증권 통장을 받아 보면 좌수 및 기준가격이 적혀 있는데 만약 기준가격이 1234원이라고 하면 해당 펀드가 만들어진 첫날 대비 23.4%가 올랐다고 보면 됩니다. 요즘과 같은 주식 시장 상황에서 매월 꾸준한 적립으로 적금 금리 이상의 수익률을 달성하여 목돈을 마련해 보는 건 어떨까요.



신한은행 신한PWM 압구정센터 팀장
2023-03-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