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픽스 7개월째 하락이라는데…대출금리는 요지부동

코픽스 7개월째 하락이라는데…대출금리는 요지부동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5-05-18 16:15
수정 2025-05-18 16: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규 코픽스 0.53%P 떨어질 때
주담대는 0.06~0.09%P 하락

은행들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앞 고객들의 모습. 연합뉴스
은행들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앞 고객들의 모습. 연합뉴스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지만, 은행에서 실제 취급한 주담대 금리는 4%대 초중반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이 지난 3월 신규취급한 주담대 평균 금리는 연 4.16~4.40%로 집계됐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내리기 시작한 지난해 10월 전후로 살펴보면, 지난해 9월 5대 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3.63~4.15%였는데, 10월에는 4.25~4.46%로 올랐고, 연말에는 총량 관리 차원에서 대출 문턱을 높이며 4.28~4.55% 수준으로 상·하단이 모두 높아졌다. 올해에도 1월 4.25~4.57%, 2월 4.27~4.52%, 3월 4.16~4.40% 등 비슷한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7개월째 내림세다. 지난해 10월 3.37%에서 올 3월 2.84%로 0.53% 포인트 하락했고, 4월에는 0.14% 포인트 더 내려 2.70%가 됐다. 반면, 은행에서 취급한 주담대 금리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 5개월 사이 하단이 0.09% 포인트, 상단이 0.06% 포인트 내리는 데 그쳤다.

은행들이 그간 연말에 가계대출 관리를 더 빡빡하게 해 온 것을 감안하면, 신용점수 문턱이 비교적 낮아진 것도 금리 인하기에 실제 취급 금리가 떨어지지 않은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말 5대 은행이 취급한 주담대의 평균 신용점수는 944~952점이었지만, 3월엔 929~944점으로 낮아졌다. 일부 은행에서는 신용점수 650점 이하 차주에게 매긴 금리가 평균 5%에 육박하기도 했다.



고정형·주기형 주담대의 준거금리로 활용되는 금융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가 지난 1~3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영향도 있다. 금융채 5년물 금리는 채권시장 수급, 경기 동향, 향후 물가 전망 등 다양한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데, 지난 1~3월 2.9~3.0% 수준에서 움직였다. 다만, 지난 16일 금융채 5년물의 금리가 5개 평가사 평균 2.750%로 떨어진 만큼, 은행들의 추가 금리인하 압력은 커진 상황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