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개발원·손해보험협회 제공
최근 5년간 추석 연휴 전후를 분석한 결과, 추석 연휴 전날(추석 이틀 전날)에 자동차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후 4~6시에 사고가 집중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4일 보험개발원과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추석 연휴 전날에는 사고 건수 4004건, 피해자 수 6139명으로 평상시보다 각각 21%, 27% 많았다. 평상시와 비슷하게 오후 4~6시 사고 빈도가 가장 높았다.
추석 당일에는 사고 건수는 줄었지만 사고당 피해자는 늘었다. 이날 발생한 2565건의 사고 피해자는 평균 2.3명으로 평소보다 1.6배 많았다. 특히 가족 단위 이동이 늘면서 어린이·청소년 피해자 수는 766명으로 평상시(371명)의 2.1배 수준을 기록했다.
연휴 기간 전체를 보면 오후 12~4시에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했다. 추석 당일에는 피해자의 44%가 이 시간대 사고를 당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뒤에서 들이받아 발생하는 추돌 사고가 가장 잦았다. 평상시에도 추돌 사고 비중이 39.3%로 전체 유형 중 가장 높았지만, 추석 연휴에는 이 비중이 40%대로 확대됐다. 추석 당일에는 추돌 사고 비중이 50% 상당을 차지했다.
또 추석 연휴를 전후해 음주운전과 무면허 운전 사고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추석 당일 음주운전 사고 피해는 평소보다 1.4배 증가했다. 추석 연휴 전날과 다음날에는 무면허 운전 사고 피해자가 각각 13명, 11명으로 평소보다 1.6배, 1.4배 늘어났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추돌사고 비중이 높으므로 졸음운전 방지를 위해 2시간마다 휴식하고 충분한 차간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며 “장거리 교대 운전 시에는 운전자 범위에 해당하는지 보험 가입 내용을 확인하고 단기운전자 확대 특약 등 보상범위 확대 특약을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