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 열기… 5대 은행 신용대출 1주 새 1.2조 급증

‘빚투’ 열기… 5대 은행 신용대출 1주 새 1.2조 급증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5-11-12 00:04
수정 2025-11-12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월 한 달 증가 폭 9251억 넘어서
2021년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대
금융취약성 지수도 3분기째 상승

이미지 확대


주요 은행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잔액이 이달 들어 일주일 만에 1조 2000억원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불장’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빚투(빚내서 투자)’ 열기가 달아올랐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신용대출까지 동원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일 기준 가계신용대출 잔액은 105조 9137억원으로 집계됐다. 10월 말(104조 7330억원)보다 1조 1807억원 늘어 불과 1주일 만에 10월 한 달 증가 폭(9251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21년 7월(+1조 8637억원) 이후 약 4년 4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신용대출 급증은 개인들의 주식 투자 확대가 주된 배경으로 꼽힌다. 지난주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7조 2638억원을 순매도했지만, 개인은 7조 4433억원을 순매수했다. 특히 코스피가 장중 6% 넘게 밀렸던 지난 5일에는 하루 새 마이너스 통장 잔액이 6238억원이나 급증했다. 포모(FOMO·소외 공포)를 느꼈던 투자자들이 변동성 확대 국면을 저가 매수 기회로 본 것이다.

금융취약성 지수도 상승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금융취약성지수(FVI)는 32.9로, 2분기(31.9)보다 1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 지수는 코로나19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3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왔다. 가계와 기업 부채가 늘고 부동산 등의 가격이 오르면 이 지수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 지수 반등 추세는 여러 거시건전성 지표 악화에 따른 것이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올해 2분기 말 89.7%로, 1분기 말(89.4%)보다 0.3% 포인트 올랐다. 이 비율이 오른 것은 2021년 2분기 말 98.8%에서 3분기 말 99.2%로 오른 이후 15분기 만에 처음이었다.



특히 정부의 연이은 대출 규제 대책에도 수도권 중심의 주택 가격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았다. 한은이 이날 공개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10월 23일) 의사록에 따르면, 금통위원 다수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하면서 여전히 강한 집값 상승 기대 심리를 가장 중요한 근거로 들었다.
2025-11-1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