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 만에 요구불예금 33조 감소…은행들 수신금리 줄인상

열흘 만에 요구불예금 33조 감소…은행들 수신금리 줄인상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5-11-12 17:19
수정 2025-11-12 17: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한·농협·카뱅 등 금리 인상

이미지 확대
서울 시내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모습. 연합뉴스


증시 호황에 은행에서 주식시장으로의 ‘머니무브’가 가속화하며 이달 들어 열흘여 사이에 주요 시중은행 요구불예금이 33조원 가까이 줄었다. 은행들은 수신금리를 높여 고객 이탈 방어에 나섰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전날 기준 614조 9251억원으로 지난달 말과 비교해 32조 9313억원 감소했다. 불과 열흘 남짓 사이에 지난 한 달 감소분(-21조 8675억원)을 이미 뛰어넘은 것이다.

요구불예금은 언제든지 바로 찾아서 쓸 수 있는 예금으로, 금리가 연 0.1~0.3% 수준이다. 요구불예금이 줄어들면 은행은 더 비싼 값에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은행들은 수신금리를 올리고 나섰다. 카카오뱅크는 이날부터 정기예금과 자유적금 상품 금리를 최대 0.15% 포인트 인상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2.70%에서 2.85%로, 1년 만기 자유적금 금리는 2.90%에서 3.05%로 올렸다.

신한은행은 전날 ‘쏠편한 정기예금’ 금리를 1년 만기 기준 기존 2.65%에서 2.75%로 0.1% 포인트 올렸다. 농협은행도 1년 만기 ‘NH올원e예금’의 금리를 2.65%에서 2.70%로 0.05% 포인트 높였다.



은행 관계자는 “요구불예금 이탈이 있지만 정기예금 금리라도 올리면 무위험 수익을 추구하는 고객들이 안정적인 예금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지 않겠나”라며 “고객 이탈 방지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부동산 규제와 환율 상승으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며 최근 시장금리가 오른 점도 이러한 수신금리 인상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