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누적 1034억원
전년 동기 대비 15.5%↓
서울 중구 케이뱅크 본사 전경. 케이뱅크 제공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의 3분기 당기순이익이 급감했다. 최근 기업공개(IPO) 삼수를 본격화한 데다 최우형 케이뱅크 행장의 임기 만료가 다음달 말로 다가온 상황에서 타격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케이뱅크는 3분기 별도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8.1% 감소한 19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직전분기(682억원)와 비교하면 71.8% 감소했다.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0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 줄었다. “지속적인 정보기술(IT) 투자 확대와 외형 성장을 위한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일반관리비가 늘어나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3분기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1115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비이자이익은 2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8% 늘었다. 머니마켓펀드(MMF) 등 운용 수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고, 가상자산 거래 활성화에 따라 펌뱅킹 수수료가 늘어난 영향이다.
최 행장은 다음 달 31일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케이뱅크가 내년 상반기 코스피 시장 상장을 목표로 지난 10일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단 점에서 중간에 행장을 바꾸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다만, 심성훈 초대 행장의 3개월 단기 임기 연장 외에는 케이뱅크 행장 연임 사례가 없단 점은 변수다. 케이뱅크는 KT의 손자회사로 지분율 33.72%의 BC카드가 최대주주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