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평균 가동률 71.9%… 19년 만에 가장 낮아
외환위기 이후 최저…6년째↓지난해 국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7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1.9%로 전년 대비 0.7% 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외환위기가 한창 진행 중이던 1998년 67.6% 이후 19년 만에 가장 낮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제조업의 생산능력 대비 실제 생산실적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 주는 지표다. 외환위기 이후 2000년대 들어서는 꾸준히 70%대 중후반을 유지했지만 2010·2011년 2연 연속 80%대를 웃돌다 2012년 78.5%를 기록한 뒤 지난해까지 6년 내리 하락세로 돌아섰다.
제조업 가동률 하락이 설비투자 확대를 가로막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투자 위축은 곧 제조업 가동률 하락과 실업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반도체를 제외한 자동차, 금속가공제품, 해양플랜트, 기타운송장비 등 광공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는 장치 산업의 생산 부진 여파로 가동률이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전체산업생산과 소비는 소폭 증가했지만 설비투자는 반도체에 힘입어 상승폭이 컸다. 지난해 전체 산업 생산은 전년 대비 2.4%, 국내 소매 판매액은 전년 대비 2.7%,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14.1%로 늘었다. 세 지표 모두 증가한 것은 2015년(1.9%, 6.8%, 4.1%) 이후 2년 만이다.
지난해 12월 국내 전산업 생산은 전년 같은 달 대비 0.7% 감소했다. 서비스업생산은 전년 같은 달 대비 2.2% 늘었지만 자동차 생산이 줄어들고 조선업 불황에 따른 선박용 내연기관 생산 감소로 인해 광공업생산이 전년 같은 달 대비 6.0%나 감소한 영향이 컸다. 주환욱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세계경제 개선, 수출 증가세 등에 힘입어 회복 흐름이 지속할 것으로 보이나 통상현안,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 대내외 위험 요인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가계부채, 부동산 시장 등 위험요인 관리를 강화하면서 공급 측면에서는 혁신성장을 가속하고 수요 측면에서는 일자리·소득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8-02-01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