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부발전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독자적인 발전소 관리 모델인 ‘WP-스마트 플랜트’를 구축했다고 17일 밝혔다. WP-스마트 플랜트는 직원들이 현장 설비 앞에서 스마트 기기로 설비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작업 지시를 하는 시스템이다.
이미지 확대
한국서부발전이 드론을 활용해 화순 풍력 발전기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서부발전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서부발전이 드론을 활용해 화순 풍력 발전기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서부발전 제공
서부발전은 이미 스마트폰을 활용한 안전 점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와 내시경 카메라 등을 모바일 기기에 장착해 직원들이 현장 점검 때 휴대할 수 있도록 했다. 사진 클라우드도 개발해 현장에서 찍은 사진을 설비 담당 직원과 바로 공유할 수도 있다. 발전소 고소·사각설비 안전 점검에는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올해 드론으로 실시간 영상을 송수신하는 시스템도 개발해 발전 현장 원격 점검 및 재난 통제 능력을 강화했다.
앞서 지난해에는 3D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해 현장과 동일하게 발전 설비 분해·정비 교육을 할 수 있는 ‘가상훈련시스템’도 개발해 특허를 냈다. 서부발전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결과 발전기 정지 또는 출력 감소로 발생하는 ‘비계획 손실율’을 6년 연속 줄였으며 지난해에는 제로(0) 수준인 0.066%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04-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