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입원비 주라’는 당국 권고 1위 삼성생명 가장 안 지켰다

‘암 입원비 주라’는 당국 권고 1위 삼성생명 가장 안 지켰다

장은석 기자
입력 2020-05-24 22:20
수정 2020-05-25 06: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2%만 전부수용… 삼성 “분쟁 많은 탓”

이미지 확대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생명보험업계 1위 삼성생명이 보험 가입자에게 암 입원 보험금(이하 암 입원비)을 주라는 금융당국의 권고를 받아들이는 데 가장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금융감독원이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암 입원비 분쟁 처리 현황’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지난해 금감원이 지급을 권고한 296건 중 186건(62.8%)에만 암 입원비를 전부 지급했다. 98건(33.1%)은 일부만 수용했고 12건(4.1%)은 전혀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른 생보사들은 지급 권고 전부 수용률이 90%를 웃돈다. 삼성생명과 함께 업계 빅3인 한화생명과 교보생명도 각각 90.9%, 95.5%였다. AIA생명과 미래에셋생명, 푸르덴셜생명 등 다른 생보사들은 지급 권고를 100% 받아들였다. 올 들어 지난 3월 말까지도 삼성생명은 지급 권고의 64.4%만 그대로 따른 반면 다른 업체들은 전부 수용했다.

암 입원비 분쟁의 핵심은 요양병원 입원비다. 대형병원은 수술 등 급한 치료가 끝난 환자의 입원을 허용하지 않아 일부 환자들이 요양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는다. 환자들은 약관대로 입원비를 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요양병원이라는 이유로 보험금을 주지 않는 건 ‘말 바꾸기’라는 입장이다.

삼성생명은 ‘다른 생보사보다 가입자와의 분쟁 건수가 많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실제로 지난해와 올 3월 말까지 금감원이 처리한 암 입원비 분쟁 1298건 중 720건(55.5%)이 삼성생명 민원이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일부 수용까지 합치면 수용률이 95%를 넘는다. 수백일치 입원비를 다 달라는 주장은 전부 수용이 힘든 부분이 있다”며 “보험금 지급 기준을 넓히고 있고 앞으로도 지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20-05-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