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테크·롤테크… 백화점 봄세일 명품 매출 최대 80% ‘쑥’

샤테크·롤테크… 백화점 봄세일 명품 매출 최대 80% ‘쑥’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04-19 22:34
수정 2021-04-20 0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복소비… 젊은층 주식처럼 자산 인식
평일·주말 불문 ‘오픈런’에 행복한 비명
작년 독일 제치고 명품 매출 7위에 올라

이미지 확대
한국인들의 ‘명품 사랑’이 식지 않고 있다. 코로나19로 억눌린 보복소비 욕구가 명품으로 쏠리면서 주요 백화점 매출이 크게 뛰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백화점 3사(롯데, 신세계, 현대)의 지난 봄 정기세일 기간(4월 2~19일) 해외 명품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최대 8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세계백화점의 명품 매출 신장률이 79.4%로 가장 높았고 현대백화점 76.9%, 롯데백화점 65.0% 등 순으로 각각 많이 늘었다. 명품 매출은 같은 기간 백화점 전체 품목 매출 신장률(40~50%)을 훨씬 웃돌았다.

국내 소비자들이 명품에 열광하는 현상은 지난해부터 도드라지기 시작했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명품 매출은 125억 420만 달러(지난해 평균 환율 기준 14조 9960억원)로 전년(125억 1730만)보다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는데, 이는 지난해 전 세계 명품 매출(2869억 달러)이 전년보다 19%나 폭락한 것과 크게 대비된다. 이런 현상 탓에 2019년 글로벌 명품 시장 매출 비중에서 8위에 머무르던 한국은 지난해 독일을 제치고 7위로 올라섰다.

폭발적인 수요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게 바로 ‘오픈런’ 현상이다. 아침 일찍부터 기다렸다가 백화점이 문을 열자마자 들어가 구매한다는 뜻이다. ‘샤넬런’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이런 현상이 비일비재한 샤넬은 오전 9시에 매장에 도착하면 오후 1~2시쯤에야 입장이 가능할 정도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요즘 샤넬 같은 주요 명품이 있는 매장에서는 평일, 주말을 불문하고 새벽부터 대기하는 줄이 길게 늘어선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여행이 막히면서 명품 소비가 폭증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국외로 떠난 우리나라 여행객은 14만 3366명으로 지난해 3월(233만 4153명)보다 94% 가까이 줄었다. 얼마 전 수차례 샤넬런 끝에 가방을 구매했다는 직장인 A씨는 “그간 월급을 아꼈던 이유가 해외여행을 가기 위해서였는데, 여행이 막히다 보니 크게 돈 들어갈 곳이 없어져 샤넬을 샀다”고 말했다.

주식, 코인 등 자산 투자에 민감한 젊은 세대가 명품을 하나의 재테크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샤테크’(샤넬+재테크), ‘롤테크’(롤렉스+재테크) 등 신조어에서 알 수 있듯 희소성이 큰 명품 브랜드는 구한 뒤 바로 되팔기만 해도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까지 차익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희소성이 큰 명품은 중고라도 값이 떨어지지 않아 젊은 세대에겐 자신을 드러내는 수단이자 주식처럼 하나의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1-04-2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