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A 배터리 내세워 경쟁력 입증
LG엔솔 2곳 공급… SK온은 ‘고배’
정부가 추진한 1조원대 에너지저장장치(ESS) 1차 입찰에서 삼성SDI가 전체의 80%에 가까운 물량을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국내 생산 비중이 높고 가격을 합리적으로 낮춘 점이 강점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27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경쟁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 8곳을 선정했다. 총 540㎿ 규모인데, 이 중 6개 사업지(465㎿)에 삼성SDI가 배터리를 납품한다. 전체의 79.4%에 달하는 물량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나머지 사업지 2곳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SK온은 고배를 마셨다.
업계에서는 삼성SDI가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대폭 낮추면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보고 있다. 전력거래소의 평가 배점은 총 100점 만점에 ‘가격 평가’ 60점과 ‘비가격 평가’ 40점으로 구성됐다.
삼성SDI는 경쟁 업체들과 달리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를 ESS용 배터리로 내세웠다. 삼원계 배터리로 불리는 NCA 배터리는 LFP 배터리보다 안전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NCA 배터리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내 생산과 부품 조달 비중이 높은 삼성SDI가 비가격 평가 부문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삼성SDI는 울산 공장 등에서 배터리셀 대부분을 만들어 공급할 예정이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난징 공장에서 배터리 셀을 생산하고 있다. SK온은 충남 서산 공장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LFP 배터리 양산성 검증 단계에 머물러 있다.
2025-07-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