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ESS로 캐즘 넘는 K배터리 ‘반등 신호탄’ 쏜다

美 ESS로 캐즘 넘는 K배터리 ‘반등 신호탄’ 쏜다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5-07-29 00:57
수정 2025-07-29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ESS에 관세 폭탄… 韓 반사이익
LG엔솔·삼성SDI 실적 개선 기대감

국내 배터리 업계가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실적 반등의 돌파구를 찾고 있다. 미국이 중국 ESS에 40~50%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며 국내 업계가 반사이익을 얻게 되면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ESS 통합 업체인 포윈은 지난달 미국 뉴저지 파산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포윈은 ESS 관련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데 ESS 설치 용량 기준으로 미국 점유율 3위, 전 세계 점유율 4위를 차지한 업체다.

포윈이 파산한 주요 원인으로는 지나친 중국 의존도가 꼽힌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ESS 배터리에 올해 40.9%, 내년 58.4%의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포윈은 CATL 등 중국 기업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차용 배터리 분야 적자가 이어지는 상황에 국내 업계가 미국 ESS 시장에서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이유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부터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2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셀 양산을 시작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부사장)는 올해 2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고객사 협의를 통해 합작법인(JV)에서도 ESS를 우선 생산하는 데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삼성SDI는 북미 합작사와의 삼원계 배터리 일부 생산 시설을 연내 ESS로 전환하는 방침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7년 이후에는 단독 LFP 배터리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 삼성증권은 “미국 전기차 세액공제 조기 종료와 자동차 관세로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둔화가 예상된다”며 “국내 업체들이 미국 현지 LFP 배터리 생산능력을 증설하고 수율을 개선하면 (실적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07-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