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운동회와 노키즈존

[마감 후] 운동회와 노키즈존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5-10-02 00:47
수정 2025-10-02 0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 단지)에 사는 지인이 얼마 전 아파트 알림판에 게시된 안내 글에 대해 말했다. 여기에는 ‘인근 초등학교에서 운동회가 열릴 예정이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특히 “딱 하루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게 주민분들의 양해를 구합니다”라는 대목이 씁쓸했다고 한다. 처음엔 그저 세상이 각박해졌다고 생각했지만 알고 보니 지난해 일부 주민이 “너무 시끄럽다”며 민원을 제기하는 바람에 올해는 학교에서 주변 아파트 단지에 사전 공지를 한 것이란다.

아이들의 웃음과 함성이 ‘소음’으로 치부되는 건 드문 일이 아니다.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접수된 소음 민원은 모두 62건이라고 한다. 국민신문고를 통해 공식 접수된 것만 해도 이 정도이니 학교나 시도교육청에 직접 민원을 넣는 경우까지 합하면 그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운동장에서는 짧게 달리기 정도만 하고, 강당이나 체육관 등 실내에서 운동회를 진행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운동회에 부모가 참석하지 않도록 하는 학교도 많다. 학교 운동회가 ‘동네 축제’였던 시절은 이미 사라진 지 오래다.

그렇게 운동회 이야기를 나누다 찾은 한 식당엔 낯익은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노키즈존’이라는 문구와 함께 “안전사고가 잦아 중학생 이하 아이들의 출입을 금지한다”는 내용이었다. 장사 초반 유아용 의자며 식기를 내주던 모습이 떠올라 더 씁쓸했다.

아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이런 노키즈존은 전국적으로 500곳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제주연구원이 2022년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노키존으로 운영하는 업소는 542곳이다. 같은 해 보건복지부 실태조사에선 558곳으로 집계됐다. 노키즈존은 신고나 등록을 하는 것이 아닌 점을 감안하면 실제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17년 “노키즈존 운영은 아동에 대한 차별”이라며 시정 권고를 내렸지만 여전히 많은 곳이 노키즈존을 표방하고 있다.

이제 바닥을 찍은 것인지 출생아 수가 조금은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적 출생아 수는 14만 780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증가했다. 출생아 수는 13개월 연속 증가세다. 전반적인 혼인 증가, 30대 초반 여성 인구수 증가, 정부의 각종 출산 지원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하지만 아이들이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 되는 사회적 분위기에 출산과 육아를 선택하는 사람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늘어날지는 의문이다.

정부는 올해 말쯤 ‘저출산·고령화 5차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출산·양육 관련 지원, 육아휴직 활성화 등 기존 정책이 강화돼야 하겠지만 아동 친화적인 사회가 되기 위한 조치도 필요해 보인다. 최소한 아이들이 “죄송하다”며 사과를 먼저 하고 운동회를 여는 씁쓸한 풍경은 사라져야 하지 않을까.

홍인기 사회부 기자(차장급)

이미지 확대
홍인기 사회부 기자(차장급)
홍인기 사회부 기자(차장급)
2025-10-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