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양귀비/이현 · 잎이 쓰다/손택수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양귀비/이현 · 잎이 쓰다/손택수

입력 2022-12-01 20:26
수정 2022-12-02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노랑, 빨강, 파랑 삼원색으로 강렬하게 풍경과 사람, 사물을 표현. 12월 31일까지 서울 용산구 지구와사람 갤러리홀.

잎이 쓰다/손택수

잡초인 줄 알았더니 어수리

잎이 쓰다

우리면 깊은 맛이 난다

쓴다는 게

쓴 잎을

우리는 일 같구나

쓴 잎에서 단맛을 찾는 일 같구나

누구에겐 그저 쓴 잎에 지나지 않겠지만

잎의 씀을

쓰디씀을

명상하는 일 같구나

뜯은 자리마다 후끈한 풀내

진물이 올라온다

깨진 무릎에 풀을 짓이겨

상처를 싸매 주던 금례 누나

생각도 난다

상처에 잎을 맞춰 주던 잎이

내 몸 어디에는 아직 남아 있어서

쓴다

이미 쓴 잎을

써버린 잎을

잎, 나뭇잎, 잎사귀, 그리고 또 같은 발음의 다른 이름 입. 굳이 따지자면 식물의 입은 잎이어서 잎에 말이 있고 표정이 있고 또 다른 입으로도 가서 입맞춤이 된다. 입을 버리면 가을이 된다. 침묵의 계절을 맞아 잎은, 입은 허공을 내려온다.

어느 날 무심히 길가에서 손에 닿는 잎을 하나 따 입에 넣었더니(유아기의 아기들이 다 그렇듯이) 쓰디쓰다. 그런데 뒷맛으로 모르던 어떤 깊은 단맛이 남았으니 아, 이게 우리네 글 농업 종사자의 쓰는 일과 닮았다.

‘진물이 올라오는’ 상처를 우려내면 먹을 만한 것이, 아니 약이 될 만한 것이 된다. 한번 난 상처는 아물어 없어지지 않고 생의 안을 떠돈다. 그것이 우려지면 시도 되고 사랑도 되는 거라고 이 시는 잎처럼 말한다.

장석남 시인
2022-12-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