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봄이 오기 전 찬 바람을 붙들다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봄이 오기 전 찬 바람을 붙들다

입력 2020-02-04 17:32
수정 2020-02-05 02: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아직 봄이 온 것은 아니겠지? 겨울 같지 않은 겨울을 보낸 것이 한두 번이 아니지만 올해는 유난하다. 겨우내 눈이 두어 번 내렸지만 눈 쓸었던 기억이 없고 겨울비가 장맛비처럼 내리기도 했다. 새벽에 커튼을 젖히면 보이던 유리창 하얀 서리는 오늘도 보이지 않는다. 추울 때 추워야 풍년이라 하는데 이렇게 따뜻한 겨울을 보내니 올해는 병충해가 극성스럽겠다는 소리가 많이 들린다. 꽃은 서둘러 피어나겠지. 작년에 겨우 꽃 하나 피우던 박태기가 줄기에 다닥다닥 꽃눈 붙이고 때를 기다리고 있어 둘러보니 살구나 매화도 그러하다. 벌써 촉을 올린 수선화와 튤립은 겨울비 지나며 서두르는 기색이 역력하다.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가을에 덮어놓은 낙엽이 손대면 힘없이 바스러지는 요즘, 성난 추위에 봄이란 말을 읊조리면서도 봄이 올 것 같지 않은 입춘을 맞는 때이건만, 벌써 봄을 맞이한 듯 계절을 앞서니 문득 계절과 계절 사이 기다림이 자리하던 빈자리가 사라진 듯하다. 기다림이 길수록 봄은 찬란히 빛나리니 추위가 빨리 사라질까 붙들고 싶은 맘이다.

춥지 않다고 따스한 것은 또 아닌 요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려 사람 사이 온기마저 두려운 세상이 됐다. 서로 가까이 하는 데 주저하게 되니 이보다 더 추운 입춘이 있을까 싶다. 꽃피는 봄이 온다 해도 그 앞에서 벌벌 떨 수밖에 없으니 서로가 서로에게 살벌한 서리가 되고 누구든 서리에 스러질 수 있는 처지가 됐다. 온갖 가짜뉴스와 비방으로 혼란을 가중하는 가운데 피켓으로 서로 보듬는 뉴스를 만나니 온정이란 말이 어느 때보다 뜨겁게 다가오는 봄이지 싶다.

하늘 기운 따라 땅이 꿈틀대며 맞이할 봄.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한계를 뛰어넘는 상황들이 속출하고 있다. 첨단이란 기술 아래 세상을 지배한 듯하나 거대한 불 앞에 무기력할 뿐이고 새로운 바이러스에 속수무책일 뿐이다. 돌이키기에 이미 늦었다는 뉴스도 심심찮게 만나게 된다. 인간이 방만하게 휘두른 탐욕으로 파괴돼 가는 세상, 그럼에도 기댈 수 있는 것은 인간뿐이다. 나만이 아닌 우리를 생각하고 미래를 생각하는 지혜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고양이가 책상 위에 올라와 가만히 앉아 하품을 길게 한다. 녀석과 함께 맞이할 봄이 어느 때보다 아름답기를….

2020-02-05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