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듯하다’와 ‘-듯 하다’/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듯하다’와 ‘-듯 하다’/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11-24 20:28
수정 2021-11-25 04: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방이라도 눈이 내릴 듯하다.”

“추웠다 풀렸다 변덕이 죽 끓듯 하는 날씨가 며칠 동안 이어지고 있다.”

위 문장 속 ‘듯’과 ‘하다’는 왜 ‘듯하다’와 ‘-듯 하다’로 다르게 쓰였을까.

우리말에는 ‘듯’과 ‘하다’가 이어지는 구성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비가 온 듯하다”, “기차가 연착할 듯하다”처럼 관형형 어미 ‘-ㄴ, -ㄹ’의 뒤에 오면서 추측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이럴 때 ‘듯하다’는 하나의 보조 용언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비슷한 말인 ‘듯싶다’도 마찬가지다.

다른 하나는 어미 ‘듯’이 동사의 어간 다음에 쓰인 뒤 ‘하다’가 이어지는 형태다. ‘하다’는 어미 뒤에 오는 요소가 아니므로 ‘듯’과 띄어 써야 한다. “변덕이 죽 끓듯 하다”, “땀이 비 오듯 하다”처럼 비유의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이때 ‘듯’은 ‘-듯이’의 준말이다. ‘-듯이’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뒤 절의 내용이 앞 절의 내용과 거의 같음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한데 ‘-ㄹ’ 뒤에 오는 ‘듯하다’를 모두 붙여 쓰는 건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의존명사 ‘듯’의 네 번째 풀이에는 ‘행동하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것처럼 보임’의 뜻을 나타낼 때는 ‘-ㄹ 듯 ㄹ 듯 하다’ 구성으로 ‘듯 하다’를 띄어 쓴다고 돼 있다. ‘끊어질 듯 끊어질 듯 하며 이어지는’처럼 쓴다는 얘기다. 이 설명이 ‘듯하다’를 더 헷갈리게 만든다.
2021-11-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