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구글·애플도 매출 공개하고 한국에 세금 내야

[사설] 구글·애플도 매출 공개하고 한국에 세금 내야

입력 2017-12-14 22:34
수정 2017-12-14 2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글로벌 다국적기업인 페이스북이 2009년부터 국내 매출 내역을 공개하고, 광고 매출에 대한 법인세를 한국 정부에 내기로 한 것은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페이스북은 지금까지 조세회피처인 아일랜드에 본사를 두는 방식으로 ‘매출 비공개 원칙과 납세 회피’ 전략을 써 왔다. 법인세율이 한국의 절반(12.5%)밖에 되지 않는 아일랜드 법인에 매출을 몰아주는 식으로 정작 매출이 발생하는 우리나라에는 법인세를 한 푼도 내지 않은 것이다.

페이스북의 이번 조치에는 각국의 세금추징 압박을 피하고 부정적 여론을 잠재우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조세 회피 문제를 돌파하기 위한 정공법이 됐든, ‘꼼수’가 됐든 해당 국가에 세금을 내겠다는 것은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2014년 페이스북 영국 법인이 영국에 낸 세금은 4327파운드(약 63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거센 후폭풍을 맞기도 했다. 말이 좋아 ‘절세’이지 사실상 ‘납세 회피책’이었던 까닭이다.

세금을 덜 내려는 꼼수는 구글과 애플도 다르지 않다. 특히 구글코리아의 올 한국 매출은 3조원 수준으로 지난해에 견줘 70%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각국의 규제를 피해 매출을 싱가포르로 집중시키는 과정에서 매출 발생국에 합당한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비판을 많이 받는다.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이해진 네이버 전 이사회 의장이 구글을 겨냥해 “특정 기업이 세금을 내지 않는다”고 발언하자 구글이 “한국에서 세금을 납부하고 있다”며 정면으로 충돌한 적이 있다. 지난해 8월 애플은 법인세율 특혜를 받는 아일랜드에 유럽 본부를 둬 세금을 빼돌렸다는 이유로 유럽연합(EU)으로부터 130억 유로(약 17조원) 규모의 법인세 추징을 통보받았다. 아일랜드 정부가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애플에 연간 세율 0.005~1%만 적용, 애플이 130억 유로가량의 세금을 사실상 빼돌리도록 방조했다는 것이다. 그런 애플이 한국에서 세금 한 번 제대로 냈다는 소리를 들어 본 적이 있는가.

글로벌 다국적기업들의 역외 탈세 방지는 저절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세금을 제대로 걷자는 공감대를 널리 형성한 뒤 압박 수위를 높여야 가능한 일이다. 글로벌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투명하게 감시할 수 있는 법적, 사회적 수단을 동시에 갖춰야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2017-12-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