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대학에서 번역 워크숍을 하기로 했다. 그곳의 한국학과 학생들이 단편소설 한 편을 가지고 한 학기 동안 번역 작업을 하고 나면, 나중에 작가와 함께 시간을 가지고 토론을 해서 결과물을 만든다고 했다. 일반적인 낭독회나 작가와의 만남처럼 일회적인 행사가 아니어서 기대감이 컸다. 그런데 그 작품이 하필이면 ‘멍게 뒷맛’이란다. 멍게 뒷맛이라니. 멍게도 멍게거니와 뒷맛은 또 어떻게 하려나. 우려가 뒤따라왔다.
이미지 확대
천운영 소설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천운영 소설가
그들이 멍게 맛을 어찌 알까? 멍게가 어떻게 생겨 먹었는지는 검색으로 어찌 알아낸다 해도 멍게를 다듬는 과정이랄지, 그 과정에서 풍겨 나오는 알싸한 냄새랄지, 그것을 입에 막 넣었을 때와 삼키고 난 후 입안에 감도는 맛의 다름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멍게를 본 적도 맛본 적도 없는 사람들에게, 나는 또 그 맛을 어떻게 설명해 줄 것인가? 하물며 멍게를 먹으면 살고 싶어진다는 주인공의 삶은 어찌 이해시키겠는가?
그래서 멍게 맛 좀 보여 주자 궁리했다. 멍게를 통째로 냉동을 해서 스티로폼에 싸 간다. 학생들 앞에서 직접 손질해 보여 준다. 신선도를 장담할 순 없지만 냄새 정도는 맡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공항검색대만 통과하면. 거기서 막혔다. 그렇지 않아도 테러 때문에 유럽 전역에서 검문검색이 강화되었다는데, 멍게란 놈 생김새가 자칫 수류탄 같은 걸로 오인받을 수도? 아주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고는 장담할 수 없으니 그 뒤에 벌어질 일이 아찔하다. 궁리 끝에 멍게 젓갈을 한 통 샀다. 회에 비할 수는 없겠으나 향이라도 맡을 수 있을 터.
학생들을 만났다. 역시나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들을 먼저 들려주었다. 구조나 문법의 차이에서 오는 언어적 장벽. 문화를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답답함. 그런데 주인공은 왜 멍게를 먹었을까요? 다른 음식도 아닌 멍게를? 이런 여자라면, 이런 삶이라면, 초콜릿이나 케이크나 아이스크림 같은 걸 먹었을 텐데. 소설에 나오는 멍게는 빨간색인가요, 갈색인가요? 역시나 자국의 독자라면 하지 않아도 되었을 사소한 질문들이 쏟아져 나왔다. 쑥스럽게, 그러나 알고 싶어 미치겠다는 얼굴로.
이번엔 내가 그들에게 물었다. 소설을 다 읽고 난 후에 남는 맛이 어떤 것이었느냐고. 소금, 식초, 오렌지, 바다, 파도소리, 눈물 등. 그들은 그들에게 익숙한 사물들을 총동원해 그 맛을 설명해 주었다. 그것이 멍게 뒷맛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내가 염두에 두고 있던 인생의 어떤 맛과 다른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학생들과 함께 토론을 이어 나갈수록 가슴이 벅차올랐다. 한 작품을 이해하고 그에 가장 적합한 언어를 선택하려고 애를 쓴 시간들. 학생들끼리 설왕설래하던 것들이 내 이야기를 듣고 난 후 해결이 되었을 때, 교실 전체에 일제히 터져 나온 박수와 환호라니. 단어 하나 문장 하나. 그렇게 한 문단 한 문단 채워 가며 울고 웃었을 그들의 시간이 눈앞에 그대로 펼쳐졌다. 내가 그 소설을 쓰던 그 시간 그 공간으로 돌아간 것 같았다.
내가 한 궁리들이 얼마나 쓸데없는 짓이었는지를 깨달았다. 소설을 다 읽고 난 후에도 그 맛이 짐작되지 않는다면, 그 소설은 실패한 소설이 아니겠는가. 눈으로 본 적도 없고 맛본 적도 없는 인생의 어떤 맛을, 글로써 맛보게 하는 것이 또한 소설이 하고자 하는 일이 아니겠는가. 나는 가지고 간 멍게 젓갈을 도로 집어넣었다. 그런데도 꼭 그들과 멍게회 한 소쿠리 나눠 먹은 기분이었다. 입에 고인 침이 오래도록 단맛을 뿜었다. 잘 살고 싶어졌다. 비로소 내 주인공의 삶을 이해한 듯했다.
2015-12-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