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대한민국을 지켜야 한다/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자치광장] 대한민국을 지켜야 한다/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입력 2017-06-15 22:52
수정 2017-06-15 22: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북한남동이 용산구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오래된 주택과 아기자기한 상가, 응봉근린공원의 푸른 숲길이 어우러져 정겨움을 자아낸다. 그런데 지난봄, 북한남동 응봉근린공원 앞에 ‘공원폐쇄 절대반대’라고 적힌 현수막이 나부껴 이목을 끌었다.

문제의 발단은 국공립어린이집 신축이었다. 우리 구는 동별 구립어린이집을 2곳 이상 갖추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땅값이 워낙 비싸다 보니 쉬운 일은 아니다. 특히 한남동은 무려 8곳의 후보지를 물색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지역 대부분이 개발 구역으로 묶여 있는 점도 문제였다. 파격이 필요했다. 마침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1000곳 확충 계획과 맞물려 공원 내에도 어린이집 설치가 가능해졌다. 구는 응봉근린공원 일부를 활용해 어린이집을 조성하기로 했다. 고맙게도, LG복지재단 어린이집 건립 사업에 우리 구가 선정돼 사업이 속도를 내게 됐다.

응봉근린공원은 시유지였다. 구는 시·구 간 토지 교환을 통해 지난해 7월 북한남동 어린이집 건립 부지를 최종 확보했다. 이후 시 도시공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공원 훼손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3층 규모의 자연친화적 건축물을 조성하기로 했다.

한 주민은 “공원은 녹지보호가 우선이다. 어떤 이유가 있더라도 공원 내 건물을 짓는 건 안 된다”고 했다. 맞는 말씀이다. 하지만 전부 공감할 순 없다. 어린이집 확충과 공공보육 정책은 ‘인구절벽’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비극을 막기 위한 것이다.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지 않는 도시는 희망이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을 지켜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 북한남동에는 영유아 6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 중 절반이 차량을 통해 인근 어린이집으로 통원하고 있다. 아이들의 부모는 집 주변에 국공립어린이집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 워낙 섬 같은 동네라 어린이집을 찾아 이사를 하기도 한다. 이들의 아우성에 귀 기울이는 것 또한 용산구의 역할이다.

구는 응봉근린공원을 절대 폐쇄하지 않는다. 단지 공원 전체 면적 67만 4000㎡의 극히 일부를 미래 세대를 위해 할애할 뿐이다. 구는 앞으로도 응봉근린공원을 철저히 관리해 나갈 것이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이숙자 운영위원장(대한민국 운영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15일 방배카페골목에서 진행된 상권 활성화 축제 ‘방가방카’에 참석해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했다. 방배카페골목은 이동과 휴식, 만남 등이 이뤄지는 생활권 골목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 상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과 주민들은 골목을 이용하며 느낀 점과 상권이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 이와 함께 상권 환경 개선과 이용 편의성에 관한 의견도 이어지며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방가방카’ 축제가 열린 방배카페골목은 1970~80년대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장소로, 현재도 축제·문화행사·일상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찾는 생활권 골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별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꾸준한 이용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상권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이 위원장은 “방배카페골목은 70~80년대 많은 시민이 찾던 공간이었으며, 서울시 상권분석에서도 인사동·성수동과 함께 방문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초구의 협력이 중요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우리 구의 목표는 2018년까지 국공립어린이집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기존 민간 어린이집을 매입해 구립으로 전환하거나 구 소유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려 한다. 아이는 부모와 나라가 ‘함께’ 키워야 한다. 그래야 부부가 살고 나라도 산다.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한 최선의 정책은 어린이집 확충밖에 없다.
2017-06-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