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음악이 흐르는 ‘음악도시 서울’/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

[자치광장] 음악이 흐르는 ‘음악도시 서울’/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

입력 2019-09-26 23:10
수정 2019-09-27 0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
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
세계적인 밴드 ‘비틀스’의 음악을 소재로 한 영화 ‘예스터데이’ 속 주인공은 비틀스의 발자취를 찾아 그들의 고향 리버풀을 방문하고, 관객들은 리버풀 풍경을 통해 비틀스를 떠올린다. ‘리버풀’은 쇠퇴한 작은 항구도시에서 현재는 음악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가 보고 싶은 명소가 됐다. 이는 음악을 통해 한 도시가 얼마나 성장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대표 사례다.

서울도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계획을 발표하고, 음악이 경쟁력이 되는 도시로 도약할 준비를 시작했다. ‘음악으로 시민이 행복한 도시’, ‘음악인이 성장하는 도시’, ‘세계인과 교류하는 음악도시’를 목표로 1년 365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음악을 향유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먼저 봄엔 드럼, 여름엔 국악, 가을엔 케이팝, 겨울엔 클래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축제가 연중 펼쳐진다. 특히 28일부터 9일간,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첫선을 보이는 대규모 케이팝 축제 ‘서울뮤직페스티벌’을 세계인이 찾는 서울의 대표 축제로 만들 예정이다. 시민 누구나 악기를 배우고 음악을 체험하는 공간 ‘생활문화지원센터’도 2023년까지 4배 가까이 확충해 음악 향유의 문턱을 낮추고자 한다.

음악산업 성장을 뒷받침하는 장르별 4대 음악거점도 조성하는데, 이달 개관한 ‘노들섬 복합문화공간’을 시작으로 2024년까지 ‘서울아레나’, ‘서남권 대공연장’, ‘서울클래식홀’이 차례로 문을 연다. 이와 함께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를 조성, 음악 관련 기업 300개를 유치하고, 음악 산업 전문가를 양성하는 뮤직 비즈니스 아카데미도 운영할 계획이다.

우리 전통음악 국악과 홍대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인디음악의 창작 지원도 확대해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는 음악도시를 만들고, 서울 전역의 음악명소 50곳을 선정하는 등 음악 관광 프로그램도 발굴해 음악이 새로운 관광 콘텐츠로 자리잡도록 할 것이다.

올해 초 어느 TV 노래자랑에서는 70대 어르신이 30대 가수의 댄스곡을 불러 스타가 됐고, 지구 반대편에 사는 어느 소녀는 케이팝을 들으며 춤을 춘다. 이것이 언어, 국경, 나이를 초월하는 음악의 힘이다. 이러한 음악의 힘을 통해 성장하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즐기는 도시 서울의 모습을 기대해도 좋다.
2019-09-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