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공간을 바꾸다, 주민 삶을 혁신하다/서양호 서울 중구청장

[자치광장] 공간을 바꾸다, 주민 삶을 혁신하다/서양호 서울 중구청장

입력 2021-09-12 20:26
수정 2021-09-13 0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양호 서울 중구청장
서양호 서울 중구청장
“우리는 공간을 만든다. 그리고 공간은 다시 우리 삶을 모양 짓는다.”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의 말이다. 얼핏 무관해 보이는 ‘사람’과 ‘공간’은 사실 밀접하게 상호작용한다. 서울시 연구에 따르면 문화·복지 등 생활 인프라를 많이 갖춘 도시일수록 주민 삶의 만족도도 높아진다.

서울의 중심에 있는 중구는 압도적으로 많은 경제·교통 인프라를 갖췄다. 하지만 주민을 위한 생활 인프라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좁은 땅에 각종 상업시설이 모여 있어 유휴공간이 적고 지가가 높아서다. 그래서 중구 공간 혁신엔 특별한 전략이 필요하다. 재배치, 복합화, 효율화다.

재배치는 엇갈린 수요, 공급을 바로잡는 데서 시작한다. 중구를 서·중·동으로 나누면 구민 70%가 동측에 산다. 반면 구청이 있는 중심부엔 소규모 제조업체 1만개가 모여 있다.

구민 밀착 행정이 필요한 곳엔 이를 지원할 행정청사가 있어야 하고, 도심 제조업 지원이 필요한 곳엔 산업 지원 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2025년까지 구청을 동측으로 옮기고 현 구청 자리엔 도심제조업 지원 공간인 ‘서울메이커스파크’를 만든다. 단순 이전은 아니다. 구청사엔 도서관·스포츠센터·어린이집을 복합화하고 서울메이커스파크에는 공공주택 400가구를 함께 만든다.

복합화는 부지 활용성이 떨어지는 기존 공공시설에 각종 생활인프라를 합해 새로 짓는 전략이다. 지난해 7월 동화동 지상 공영주차장을 지하로 내리고 확장하면서 지상부엔 동화주민공원과 ‘중구교육지원센터 이로움’을 만들었다. 지난 2월엔 동주민센터에 영유아 실내놀이터, 도서관, 다목적 강연·모임공간 등을 복합화한 ‘신당누리센터’를 선보였다.

효율화는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한 개 공간이 시간과 이용 대상에 따라 다른 기능을 한다. 동주민센터 회의실을 팝업 전시관으로 탈바꿈시킨 게 그 예다.

중구에 있지만 정작 주민이 쓰기 어렵던 민간 시설도 적극 활용한다. 구가 민간 시설을 직접 위탁받아 저렴한 가격으로 개방하는 식이다. 이렇게 남산 자유총연맹 주차장 70면이 주민에게 개방됐다.

사람은 자기 삶의 바탕이 될 공간이 필요하다. 도시는 구조에 따라 거주민을 밀어내기도, 지원하기도 한다. 사람을 행복하게 살게 할 중구의 도심공간 혁신이 기대되는 이유다.
2021-09-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