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밤새 안녕하십니까/문소영 논설실장

[길섶에서] 밤새 안녕하십니까/문소영 논설실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18-09-02 22:30
수정 2018-09-02 2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녕’(安寧)은 ‘편안하고 편안함’이다. 즉 ‘안녕하십니까’는 ‘아무 탈 없이 무사하십니까’가 되겠다. 현재에 충실하라 또는 현재를 즐겨라라는 의미의 라틴어 ‘카르페 디엠’(Carpe diem)과는 뉘앙스가 다르지만, ‘지금 현재’에 집중한다는 의미가 있다. 지난 주말 지인이 응급실에 갔다. ‘따님’과 즐겁게 쇼핑을 마치고 가자미구이 정식으로 점심을 먹었는데, 딸이 몇 점 먹지도 못하고 가시가 목에 걸렸다는 것이다. 동네 이비인후과에 찾아갔다가 대학부설 3차 병원 응급실로 옮겨 가시를 제거했으니, 천국과 지옥을 아침·점심으로 다녀온 셈이다. 또 선배의 어머니는 지난 주말 오랜만에 서울 나들이를 나섰는데 백화점 쇼핑 후 에스컬레이터에서 넘어져서 꼬리뼈와 허리뼈에 금이 가 최소 2주 병원 신세를 지게 됐단다. 집을 나설 때만 해도 생각지도 못한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다.

공연히 미래가 걱정되는 날이 있다. 별다른 저축도 없는데 국민연금은 고갈된다고 하고, 다들 잘나가는데 나만 뒤처진 듯하다. 그러나 내일은 물론 한 시간 뒤의 일도 모르는 게 인간사이다. 지옥의 한철 같은 하루를 버티다 보면 그 불안한 미래는 어느새 과거가 돼 지나갔다. 개미보다 베짱이의 자세가 필요한 시절일지도 모르겠다.

symun@seoul.co.kr
2018-09-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