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철없는 꽃/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철없는 꽃/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2-03 20:58
수정 2020-02-04 02: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눈발다운 눈발 한 번 없이 겨울은 그냥 이렇게 지나가는가 보다. 모름지기 인간은 인간다워야 하고 겨울은 겨울다워야 하는데 말이다. 삭정이처럼 말라빠진 겨울을 넋 놓고 무심히 지내다 보니 오늘이 벌써 입춘이란다.

남녘에서 화신(花信)이 당도한 것은 가장 추울 때라는 대한(大寒) 무렵이었고 서울의 아파트 화단에서는 개나리꽃이 철도 모르고 피었다.

겨울꽃이 조숙한 아이처럼 마냥 반갑지 않은 이유는 펑펑 내리는 눈과 맞바꿨기 때문이다.

정확히 40년 전 이맘때 퍼붓는 함박눈을 온몸으로 맞으며 서울 거리를 실성한 사람처럼 쏘다녔었다. 눈송이가 아니라 희망, 순결, 낭만 같은 눈의 언어들이 내 몸에 쏟아지고 있었다.

눈이 떠난 빈자리의 공허함을 겨울꽃이 대신 메울 수 있을는지는 모르겠다. 인간은 눈앞의 것에만 혹하여 때 이른 개화에 즐거워하겠지만, 자연의 섭리로 따지면 분명히 이상현상이다.

실제로 이른 개화가 생태계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아직 꽃샘추위가 남아 있는데 철없는 꽃들이 얼어 죽을지도 알 수 없다.

세상만사가 순리와 이치를 따라 흘러가야 함을 겨울꽃은 보여 주는 것일까.
2020-02-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