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압축사회/박현갑 논설위원

[길섶에서] 압축사회/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4-01-08 00:58
수정 2024-01-08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해가 바뀌며 덕담과 함께 올해 유행할 트렌드를 지인들과 주고받은 적이 있다. 관련 책들을 금융기관이 정리한 자료였다. 책을 따로 사지 않더라도 요약본으로 한 해의 흐름을 알 수 있다니 편한 세상이다.

이런 책들은 연말연시가 되면 어김없이 나온다.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현대인의 불안한 심리를 파고든 책들이다. ‘분초사회’, ‘디토소비’ 등 김난도 교수의 책에 나온 제목들이 흥미롭다. 1분 1초를 아껴 사용하는 사회와 사람·콘텐츠·유통 채널을 따라 소비하는 현상을 뜻한다.

‘압축사회’를 추가해 본다. 긴 글 읽기는 부담스럽고 시대 흐름은 놓치고 싶지 않다 보니 압축물이 늘어나고 있지 않나.

변화에 대한 관심도 가져야겠지만 변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눈길 주기도 필요하다. 인간의 욕망은 시간 흐름에 관계없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에서 드러나듯 새해의 초심 유지를 다짐하나 쉽지 않다. 이런 점에 주목하면 더 나은 삶, 행복한 삶이 되지 않을까 싶다.
2024-01-0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