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까치밥 홍시

[길섶에서] 까치밥 홍시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4-11-21 02:57
수정 2024-11-21 0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앙상한 가지 끝에 빨간 홍시 서너 개를 달고 있는 감나무가 안쓰럽다. 푸르던 잎은 떨군 지 오래다. 주렁주렁 매달렸던 홍시는 그래도 나무 꼭대기에 남아 까치밥이 됐다.

하늘을 맴돌던 직박구리 한 마리 홍시에 부리를 묻고 연신 쪼아댄다. 시인 김남주는 ‘옛 마을을 지나며’라는 시를 통해 ‘나무 끝을 나는 까치를 위해 홍시 하나 남겨둘 줄 아는 조선의 마음이여’라고 읊었다.

까치밥은 ‘감나무의 열매 중 따지 않고 까치 등 날짐승이 먹으라고 남겨 놓은 감’을 뜻한다. 너나 없이 가난한 세상,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시절에도 생명의 온기를 나눴던 배려가 담겨 있다. 까치밥은 자연과 함께 사는 조상들의 지혜다. 지혜의 보고 탈무드도 ‘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라’고 가르친다.

‘까치밥을 따 버리면 빈 겨울 하늘만 남을 것’이라고 노래한 시인도 있다. 엄혹한 계절, 까치밥 홍시가 있어 그나마 각박한 세상이 가벼워진다. 겨울이 성큼 다가왔다. 조만간 광화문 네거리에도 구세군 종소리가 울리리라. 공주의 시골 어귀에서 본 까치밥 홍시가 떠오른다.
2024-11-2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